-
[프런트 라인]
[비평] 몸이라 쓰고 진정성이라 읽는다, '스턴트맨'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스턴트맨>의 기본 설정은 따지고 보면 말이 안 된다. 대역 배우 혹은 무명 배우가 스타를 질투하는 이야기는 별다른 부연 설명이 필요하지 않지만, 대역 배우를 질투한 스타라니. 캐스팅을 통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이러한 설정은 육체의 우위를 은밀하게 복권하는 데가 있다. 위험한 액션을 소화하는 신체 능력의 강조는 ‘
글: 김소희 │
2024-05-22
-
[스페셜2]
[기획] <늑대의 유혹> 이후 배우 이청아의 20년 ③ - 건강하게 살아가기, 연기하기
- 자기다움을 고민하고 지켜온 시간들이 쌓여 지금의 이청아를 만든 것 같다. 유튜브 채널 <MOCA 이청아>를 보면서 배우 이청아 뿐 아니라 생활인 이청아를 향한 호감과 동경을 표현하는 구독자가 많은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 정말 그런가! 감사한 한편 왜 좋아해주시는지 나도 궁금하다. (웃음) 유튜브나 SNS 속 내가 있는 그대로의 나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05-17
-
[스페셜2]
[기획] <늑대의 유혹> 이후 배우 이청아의 20년 ② - 20대 이청아의 버티기
-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출신이지만 데뷔는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했다.
= 데뷔하게 된 건 순전히 우연이었다. 2002년 명동에서 부지영 감독님 단편영화 <눈물>에 길거리 캐스팅된 거니까. 그렇지만 아버지(연극배우 이승철) 배우라는 직업 자체엔 무척 익숙했다. 내게는 학로 분장실이 친숙한 공간이었고 연극도 일찍부터 많이 봤다. 초등학교 6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05-17
-
[스페셜2]
[기획] <늑대의 유혹> 이후 배우 이청아의 20년 ① - 깊은 목소리, 선명한 눈동자
배우라는 직업의 피할 수 없는 숙명 중에는 필모그래피가 쌓이는 만큼 바이오그래피의 궤적도 노출된다는 고충이 있다. 그마저도 감사하다고 표현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혹자는 감수해야 할 대가라고도 말한다. 미디어 환경이 다변화되면서 대중은 해가 갈수록 작품 바깥에서 드러나는 배우의 사적 매력을 접하는 데 익숙하고 나아가 요구한다. 여기엔 스타의 진짜 삶을 궁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05-17
-
[스페셜2]
[기획]큐덕을 아십니까, '하이큐!!'를 뜯고 맛보고 즐기는 팬덤 현상들
일명 ‘큐덕’. <하이큐!!> 팬들(덕후)을 일컫는 말이다. 카라스노 고등학교 체육관에서 시작된 큐덕의 사랑은 다양한 형태로 적극이고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한편으론 귀엽고 또 한편으론 엉뚱한 풍경 속에서 동시대를 강타한 작품에 반영된 대중의 욕망을 읽을 수 있다.
01. <하이큐!!>가 알려준 진짜 배구
스포츠물의 묘미는
글: 이자연 │
2024-05-17
-
[스페셜2]
[기획] '하이큐!!' 홈페이지가 간직한 8년 반의 이야기, 우리 이런 시절도 있었는데…
보통 연혁이라고 하면 대외적이고 공식적인 일들을 정리하기 마련이다. 대충 보아도 멋있고 쉽게 인정할 만한 숫자와 기록들로 가득하다. 하지만 이번 <하이큐!!> 연혁은 큼직한 일 이외에 작고 소담한 에피소드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하이큐!!> 공식 홈페이지(http:// j-haikyu.com)에 등록된 공
글: 이자연 │
2024-05-17
-
[스페셜2]
[기획] 배구가 소년 만화의 미덕을 뜨겁게 구현하는 방식, 우리에겐 한계도, 포기도 없다
소년 만화가 지녀야 할 첫 번째 미덕을 꼽는다면 단연 알 수 없는 벅차오름을 고양시키는 일이다. 뭉클함, 감격스러움, 대견함, 뿌듯함 같은 것들. 가장 대표적인 클리셰로는 만년 꼴찌만 도맡던 언더도그가 오합지졸의 갈등을 넘어 하나가 되거나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강팀을 꺾어 우승을 차지하는 장면이 있다. 멤버간의 불화가 크면 클수록 조화를 맞춰가는 과정
글: 이자연 │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