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허세가 자세가 될 때, <리볼버>의 영화적 품위
오승욱의 <리볼버>는 드라마의 성질과 장르의 본질을 따르는 척하면서 거스른다. 드라마의 얼개는 있지만 극적인 충격은 없다. 대신 묘사가 있다. 시각적 층위에서 드라마의 극성이 사라진 부분을 자세히 묘사함으로써 극적 수사를 대신한다. 그게 상당수 관객의 심기를 건드렸다. 폼을 잡으며 허세를 부리는 재수 없는 영화, 겉만 그럴싸하며 알맹이는 없는 인
글: 김영진 │
2024-08-29
-
[스페셜2]
모난 돌이라 어여쁘다, <리볼버>의 이상함이 반가운 이유
<리볼버>가 25만 관객(8월20일 기준)을 모으며 지난해 추석 <거미집>의 충격적인 흥행 부진을 반복하고 있는 듯하다. 한국형 장르물의 대들보처럼 여겨지던 감독들의 야심작이 관객에게 냉담히 외면받고 있다. 한국영화가 불쌍하다거나 이 상황이 안타깝다는 이유만으로 <리볼버>를 다시 호명하려는 것은 아니다. <리볼버>
글: 이우빈 │
2024-08-29
-
[스페셜2]
[특집] 총알은 남아있다, <리볼버>로 돌아보는 ‘한국영화’
<리볼버>는 굳이 돌아봐야 할 영화일까. 별달리 흥행하지 못했고 공개 당시 평단의 압도적 지지도 없었으며 유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지도 않았다. 겉으로 보기엔 그저 흘려보낼 수 있는 이 영화를 다시 봐야 할 이유가 있을까. 이번 <리볼버> 특집기사는 그 이유가 있지 않냐고 제언하는 자그마한 항변에 가깝다. 우선 이우빈 기자는 <리
글: 씨네21 취재팀 │
2024-08-29
-
[INTERVIEW]
[인터뷰] 상실에서 벗어나는 로드무비, <문경> 신동일 감독
신동일 감독은 정말 꿋꿋하게 걷고 있다. 2006년 <방문자>를 시작으로 <나의 친구, 그의 아내> <반두비>로 독립영화계에 자신만의 뚜렷한 스타일을 각인시켰고 이후에도 <컴, 투게더> <청산, 유수> 등을 공개하며 단단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자신만의 길을 택한 신동일 감독이 로드무비의 형식에 이끌린
글: 이우빈 │
사진: 백종헌 │
2024-08-29
-
[커버스타]
[인터뷰] ‘온전히 바라보는 시선의 힘’, <딸에 대하여> 하윤경
밝음과 어둠의 온유한 공존. 배우 하윤경에게 내적으로 성숙한 배역이 곧잘 주어지는 건, 그가 가진 특유의 분위기가 자신다움을 직시하고 성찰하는 사람의 것이기 때문일 터다. “캐릭터의 주축은 지키되 그 반대편의 면모를 불쑥 내보일 때 인물이 비로소 재미있어진다”고 말하는 이 배우도 스스로의 장점을 이미 잘 알고 있는 듯 보인다.
<딸에 대하여>
글: 김소미 │
2024-08-28
-
[커버스타]
[인터뷰] ‘우직하게, 굳건하게, 뒤돌아 후회하는 일 없이’, <딸에 대하여> 임세미
임세미 배우가 연기한 그린은 불의를 쉽게 지나치지 않는 올곧은 에너지를 지녔다. 그는 소수자라는 이유로 대학에서 해임된 동료 교수를 위해 가장 앞장서 목소리를 낸다. 전세보증금 문제로 그린은 엄마(오민애)의 집으로 들어온다. 엄마와 그린 사이에 마찰이 생긴 건, 그린의 동성 애인 레인(하윤경)이 함께 살게 되면서부터다. <딸에 대하여>를 통해 독
글: 조현나 │
2024-08-28
-
[커버스타]
[인터뷰] 사랑이 가장 귀해서, <딸에 대하여> 오민애
국내 영화제를 빼곡히 채운 단편영화들로 진즉 존재감을 각인했고, 독립영화 <윤시내가 사라졌다> <초록밤> <첫번째 아이> 등으로 부지런히 활동해온 오민애를 만났다. <딸에 대하여>에 이어 <파일럿> <한국이 싫어서>, 넷플릭스 시리즈 <돌풍> 등으로 요즘 우리를 분주하게 노크하고 있
글: 김소미 │
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