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나쁘거나 위선이거나
여기 미국에 사는 모슬렘 여성 라베야가 있다. 패티 스미스와 토리 에이모스를 즐겨 듣고 아내를 때리는 풍습을 정당화하는 코란 구절을 거리낌없이 지워버리는 라이엇 걸이다. 그러나 부르카를 벗지 않고 예배도 잊지 않는다. <알라의 아흔아홉 가지 이름>의 주인공 유세프는 친구 라베야에게, 하숙집 친구 모두에게 묻고 싶다. 우리에게 이슬람은 무엇일까?
글: 김은미 │
2010-11-11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건망증으로 떠는 당신에게
사례1. 선배 K는 시시콜콜한 기억력이 참 좋은 사람이었다. K는 언제나 자기의 기억력이 얼마나 좋은지를 자랑하며, 누구는 뭘 잘못했고 누구는 뭐가 틀렸으며 누구는 왜 글러먹었는지를 따지곤 했다. K가 뉴스의 사실 관계를 기억하는 능력이 좋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었기 때문에 K가 타인에게 ‘지적질’을 할 때면, K는 잘못 없는 삶을 살고 있는 데 반해
글: 이다혜 │
2010-11-04
-
[도서]
[도서] 절망과 싸우는 농담
‘로봇’이라는 말을 창시한 체코 소설가 카렐 차페크의 문명 비판 소설, 땅땅.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맞는 소개다. 1936년의 유럽은 아주 작은 불씨만 떨어져도 바로 전쟁이 터질 분위기였다. 카렐 차페크는 이 살 떨리는 시기가 어떻게 탄생하였는지, 도롱뇽을 알레고리 삼아 이야기를 끌고 간다. 우연히 발견된 바닷속 도롱뇽은 도구를 잘 다루고 인간 언어도
글: 김은미 │
2010-11-04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취직도 가족도 참 어렵네
언젠가부터 주변에서 사람을 소개해달라는 청을 받을 때가 있다. (소개팅 말고 채용!) 혹은 해마다 가을쯤 보는 서류 전형이나 면접 직후, 관련 해프닝을 듣게 되는 일도 잦다. 같이 일하는 후배를 콕 집어 “얘 어때?” 하고 물어오는 경우도 있다. 이때, 일의 성격이나 회사 성격, 질문한 사람의 일하는 스타일에 따라 답하는 내용은 달라지게 마련인데, 거의
글: 이다혜 │
2010-10-28
-
[도서]
[도서] 수다쟁이 치료법과 당신!
옛 현인들의 글을 읽다보면 깨달음과 폭소가 동시에 터지곤 한다. <영웅전>으로만 알았던 플루타르코스의 <수다에 관하여>도 그런 글이다. 옛 철학자들이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진지한 유머감각의 화신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 이 책은 짧은 몇편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표제글인 <수다에 관하여>를 비
글: 장영엽 │
2010-10-28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안 읽고 배길 수 있겠니
어린아이의 피와 살을 섭취하는 퀴르발 남작, 아서 코난 도일의 죽음에 관한 미스터리를 푸는 셜록 홈스, 중세 말 악마의 하수인에서 현대 패션의 아이콘이 된 마녀, 고딕 공포물의 단골 손님 프랑켄슈타인이 여기 등장한다. 화려한 출연진이다. 등장인물이 아니라 출연진이라고?
최제훈의 첫 번째 소설집 <퀴르발 남작의 성>은 뭐랄까, 소설과 영화,
글: 이다혜 │
2010-10-21
-
[도서]
[도서] 그러니까 이것이 청춘이라고
한동안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20대 개x끼론’이라는 게 있다. 문자 그대로, ‘요즘 것들 못쓰겠어’의 2010년 대한민국 버전이다. 촛불시위에 교복 입은 애들보다 대학생 보기가 더 힘들더라, 20대가 투표를 안 하니 나라꼴이 어쩌고, 부모 등에 업혀 제 손으로는 할 줄 아는 것 없는 철부지들, 학점 딸 줄은 알아도 세상물정을 모르는 애들이라고 한다.
글: 이다혜 │
2010-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