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외로워도 슬퍼도
언젠가부터 상담 붐이다. 지면매체부터 방송에 이르기까지, 연애부터 인생의 허무, 재테크까지 모두 상담해준다. 그중 최근 가장 뜨거운 인기를 누리는 프로는 바로 MBC 라디오의 <김어준의 색다른 상담소>. 팟캐스트로만 서비스되는 딴지라디오의 <나는 꼼수다>의 인기와 더불어 팟캐스트에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
글: 이다혜 │
2011-10-06
-
[도서]
[도서] 영화에 다가가려는 당신에게
<호러 영화> 마이클 오프레이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여성영화> 폴 웰스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아방가르드 영화> 앨리슨 버틀러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숏컷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발간된 영화 입문 개론서가 지속적으로 국내에서 번역되고 있다. “영화의 장르, 개념, 역사와 영화 운동, 테크놀로
글: 정한석 │
2011-10-06
-
[도서]
[도서] 뇌과학으로 소설 읽기
왜 예술은 인간을 감동케 하는가. 혹은, 왜 예술은 인간의 사랑을 받는가. 예술의 무엇이 마음을 울리는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누군가는 창작을 하고 누군가는 비평을 한다. 흥미로운 건 오랜 세월 사랑받아온 고전에 대한 새로운 비평이나 분석글이 끝없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그림의 경우, 미켈란젤로가 그린 바티칸 시스티나 예배당의 천장화
글: 이다혜 │
2011-09-29
-
[도서]
[도서] 만들어진 신을 찾는 우주여행
신이 하늘에 있다면, 관측할 수 있다면 어떨까. 지구와는 멀리 떨어진 미래 행성 나니예의 신은 “늘 가까이에서 행성 주위를 공전하시지만 그 크기가 너무나 작아서… 감히 그 모습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고로 나니예의 수도사들은 거대 망원경으로 신을 관측하는 과학자들이다. 그 중 논문을 쓰는 수도사 나물은 복음서에서 전해지는 신의 궤도에 실제로 신이 없다
글: 김은미 │
2011-09-22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연애에 찌든 당신의 초심
학원물이라는 장르의 신기함은 읽거나 보는 동안 내가 갖지 못했던 십대의 추억을 되살린다는 데 있다. 내가 경험한 바로는 한국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는 일은 학원물 설정과는 영 달라서, 대단한 로맨스나 공포는 경험할 일이 없었다. 귀밑 3cm 머리(방학이 끝나면 날라리들은 기른 머리를 유지하려고 가발을 썼다가 죽도록 맞았고), 성적과 비례해 불어나는
글: 이다혜 │
2011-09-22
-
[도서]
[도서] 난 전화하는 남자가 좋더라
‘퇴직자 인터뷰’라는 게 있다. 퇴직을 앞둔 사람들은 눈치볼 것 없이 솔직하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회사의 발전 방향에 대한 솔직한 내부자 평가를 들을 수 있는 기회니까. 그 ‘퇴직자 인터뷰’를 데이트에 적용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데이트에서 퇴직자는 누구냐고? 두 번째 데이트를 할 생각이 없는 사람들이다. <그는 왜 전화하지 않았을까>는 여성
글: 이다혜 │
2011-09-01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갑, 깝
최근 읽은 책들에서 만난 재미있는 문장들을 소개하는 글을 쓸 생각이었다. <게코스키의 독서 편력>에는 이런 문장이 나온다. “‘고등학교’. 오늘까지도 이 말은 ‘인종청소’라든가 ‘치아 신경 치료’, ‘조지 부시’ 같은 말을 들었을 때처럼 가슴 조이는 반감을 불러일으킨다.” 웃기지 않은가? 당신이 이 문장을 읽고 웃을 수 있다면 나와 친구가 될
글: 이다혜 │
201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