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완전히 파멸적인 영화를 만들기 어려운 시대다, <클라우드> <뱀의 길>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
올해 구로사와 기요시는 <클라우드>와 <뱀의 길>, 두 편의 영화로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았다.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의 주인공으로 호명된 그가 직접 참석하는 관객과의 대화 회차는 빠른 속도로 표가 동났다. 스다 마사키가 온라인 리셀러로 분해 집단 광기의 보복에 휘말리는 <클라우드>, 죽은 어린 딸의 복수를 하는 1998년 원작의
글: 임수연 │
사진: 최성열 │
2024-10-06
-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무한의 시간 혹은 영원의 포옹, <봄밤> 강미자 감독
류머티즘을 오래 앓은 수환(김설진)과 실의에 빠져 알코올 중독이 된 영경(한예리). 죽음의 문턱 앞에서 삶을 버티던 두 남녀의 사랑이 담긴 권여선 작가의 단편 「봄밤」을 읽고 강미자 감독은 언어로 포착할 수 없던 감각을 마주했다. “나이가 들면서 특별한 일이 없더라도 깊이 고여 있는 아픔. 읽는 내내 이루 말할 수 없는 그 아픔이 찾아왔다.” 영화화를 결
글: 최현수 │
사진: 박종덕 │
2024-10-06
-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아무것도 남지 않은 세상에서 우리가 마주한 것, <플로우> 긴츠 질발로디스 감독
갑작스레 홍수에 잠긴 세상은 고요와 함께 공포를 몰고온다. 돛단배에 겨우 몸을 피한 고양이는 그곳에서 여우원숭이, 카피바라, 새 등 다양한 종의 동물을 만난다. 생존을 위한 동물들의 분투기는 긴츠 질발로디스 감독이 대학에 재학하던 201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0년에 키우던 반려묘를 주제로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 그 뒤에 장편으로 확장한
글: 이자연 │
사진: 최성열 │
2024-10-06
-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차가운 불꽃처럼, <강남 비-사이드> 하윤경
명료하고 똑 부러지는 화법과 선하고 맑은 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최수연 변호사부터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의 윤보민 순경까지 배우 하윤경에게 가장 자주 보이는 것은 의로움이었다. “고교 시절 사탐 과목 중에서 법과 사회를 제일 좋아했다. (웃음) 정의를 논하는 캐릭터를 마주할 때마다 도덕과 부도덕의 경계를 고민할 수 있어서
글: 최현수 │
사진: 박종덕 │
2024-10-06
-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한층 집요하게, 한층 명확하게, <강남 비-사이드> 지창욱
기나긴 고민의 시간을 끝낸 것은 아끼는 인연들의 손짓이었다. “촬영 감독님, 조명감독님, 미술감독님 모두 <최악의 악>을 함께 했다. 조명 감독님께는 일주일에 두 번씩 안부 문자가 왔다. 결정적으로 <발신제한> 때 함께하며 작품을 대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었던 (조)우진이 형의 전화 한 통에 마음이 넘어갔다.” <최악의 악>
글: 박수용 │
사진: 박종덕 │
2024-10-06
-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올바름을 향한 올곧은 행동, <강남 비-사이드> 조우진
“올바름을 향한 올곧은 행동”. 조우진 배우가 정의한 강동우의 매력에 절로 고개가 주억거려졌다. 딸의 친구가 연루된 강남 연쇄 실종 사건을 파헤치는 강동우는 일찍이 사건 해결을 위해서는 선배에게까지 달려드는 돌직구 형사였다. “적토마 눈의 양옆을 가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를 상상해 보라며 강동우의 직진성을 설명한 조우진 배우는 캐릭터를 추동하는 딸과 가
글: 박수용 │
사진: 박종덕 │
2024-10-06
-
[2024 부산국제영화제]
BIFF #4호 [인터뷰] 영화는 역사를 재현하고 재발견한다, <버림받은 영혼들> 로베르토 미네르비니 감독
2024 칸영화제 주목할만한시선 감독상 수상작 <버림받은 영혼들>의 감독 로베르토 미네르비니는 2015년 <경계의 저편>으로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시네필상을 받은 이후 9년 만에 다시 부산을 찾았다. <버림받은 영혼들>은 1862년 남북전쟁 중 국경지대에 파견된 보병부대를 리얼리즘적 시선으로 관찰하는 극영화다. 피비린내가 진동하
글: 문주화 │
사진: 박종덕 │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