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리얼리티 바이츠
박완서 선생의 마지막 소설집이란다. 한국 문학의 대모, 소설의 고향, 칭찬은 차고도 넘치니 여기서는 소설집에 실린 몇몇 문장들을 소개할까 한다.
“정욕과 물욕이 비기고 텅 비는 걸 느꼈죠.”(2009년작 <빨갱이 바이러스>) 느지막이 남편을 떠나보낸 뒤, 큰손자의 젊은 영어선생에게 끌리는 여자. 그녀는 장례식장에서조차 저를 달래는 영어선생의
글: 김은미 │
2012-02-16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계절은 다시 가고 오고
나쓰메 소세키라는 이름만 들어도 몸이 “드러눕는다”로 반응한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나쓰메 소세키를 읽는 일은 크나큰 모험이다. 읽고 나면 (누가 들을세라) 작게 한숨지으며 드러눕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후기 작품들은. 그는 단정지었다. “사람들 사이에는 다리가 없다.” 사교의 기술이 나날이 늘어가는 직장생활 11년차의 나를 보고 있자면 <행인>
글: 이다혜 │
2012-02-09
-
[도서]
[도서] 소설은 죽고 나는 쓴다
작가는 전생에 죄지은 사람이라 했다. 글을 쓸 여건이 안돼도 기어이 쓰고야 마는 작가 일반의 습성을 가리킨 말이리라. 그런데 한유주의 신작은, 글쓰기 자체에 대해 머뭇거린다. 소설의 역사가 이토록 길고 작품들이 박물관의 유물들처럼 쌓여 있는 마당에, 새롭게 뭔가를 쓴다는 건 불가능하지 않느냐는 질문. “베끼고 베껴지는 것은, 우리가 공유하는 숙명과도 같은
글: 김은미 │
2012-02-09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드라마 킹
재미있는 인터뷰라고 불리는 것은 인터뷰이의 캐릭터나 내공을 자연스럽게 펼쳐 보이는 것으로, 두고두고 기억날 만한 말을 얻어들을 때다. 하지만 많은 자리에서 인터뷰어를 해봤고, 인터뷰 구경도 해봤고, 읽기는 더 많이 해본 사람으로서 ‘재밌는’ 인터뷰를 말하자면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싸움구경(“당신은 내 영화/책/음악을 잘못 봤어!”)이다. 그만큼 드물기 때
글: 이다혜 │
2012-02-02
-
[도서]
[도서] 이스트우드 입문서
<클린트 이스트우드: 영화의 심장을 겨누고 인생을 말하다>는 서부영화, 경찰영화, 멜로영화, 코미디영화, 드라마, 스릴러, 전쟁영화 등 장르별로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연출 및 출연작을 총망라하여 분류하고 있다. 역자의 말처럼 “구성으로만 보면 ‘이스트우드 영화 감상 가이드’라는 표현이 더 적당하다”. 요컨대 이스트우드가 주장해온 연기론(배우는 잘
글: 정한석 │
2012-02-02
-
[도서]
[도서] 그곳에 영화 기호학이 있으므로
김혜리 기자의 책상 위에 놓여 있던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2권이 사라졌다. 아마도 누군가가 잠시 보고 도로 갖다놓는다고 생각했다가 잊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우리는 ‘아니, 그래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이기에 메츠의 책을 허락받을 사이도 없이 그렇게 급히 빌려(?)간 것이냐’며 농담을 주고받았다. 그런 농담이 오가던 그때에,
글: 정한석 │
2012-01-12
-
[도서]
[도서] 촌부들의 촌극
몰락해가는 재래시장 건어물가게 주인 정의섭. 상인회 총무 직함 달고 이리저리 기웃거리는 일 말고는 제대로 하는 게 없다. 외주제작사 PD 이상운. 한때 잘나가는 공중파 PD였지만 직접 프로덕션을 차린 뒤로는 제작 프로그램이 하나밖에 남지 않았다. 막다른 곳에 몰린 이들이 케이블용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일명 야바위라고 불리는 구슬 든 컵을 맞히는
글: 김은미 │
201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