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VIEW]
[인터뷰] ‘온갖 삶이 사회복지관에서 만난다’, <부모 바보> 이종수 감독
영화 <인서트>로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에서 크리틱b상을,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새로운시선상을 수상한 이종수 감독은 부산영화제가 2023년부터 주목해온 신인이다. 장편 데뷔작 <부모 바보>로 처음 부산영화제를 찾은 그의 손엔 당시 KB 뉴 커런츠 관객상이 쥐어졌다. 부산에서 연이어 조명된 이종수 감독의 특징은 독특한 형식적
글: 조현나 │
사진: 오계옥 │
2025-01-09
-
[INTERVIEW]
[인터뷰] 압도적 고통에 연대할 수 있을까, <리얼 페인> 제시 아이젠버그 감독 겸 배우, 배우 키어런 컬킨, 윌 샤프, 제니퍼 그레이
폴란드인 할머니는 홀로코스트에서 생존했다. 몇 세대 후 미국인 손자들은 불안장애와 우울증을 달고 산다. 역사적 고통의 거대함 앞에서 현재의 개인적 고통은 한없이 작아 보인다. 하지만 감독 겸 배우 제시 아이젠버스는 두 번째 장편 연출작을 쓰고 찍으면서 그것이 덜 중요하거나 정당하지 않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성격이 딴판인 사촌 형제 데이비드
글: 남지우 │
2025-01-09
-
[INTERVIEW]
[인터뷰] “미니멀한 연기 통해 공포 살렸다”, <하얼빈> 배우 박훈
2024년 3월 배우 박훈에게 좋은 소식이 있었다. 홍콩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아필름어워즈(AFA)에서 <서울의 봄>의 문일평 역으로 남우조연상을 받은 것이다. 첫 연기상 트로피를 어디에 두었냐고 묻자 박훈은 “전시할 성격이 못 된다며 어디 안 보이는 곳에 잘 보관했다”라고 말했다. 이 일화가 증명하듯 박훈은 2015년 <오 나의 귀신님&g
글: 이유채 │
사진: 오계옥 │
2025-01-09
-
[커버스타]
‘누가 더, 라고 말할 수 없는 세계’, 김화진 소설가의 <러브레터> 에세이
김화진 소설가(<나주에 대하여> <동경>)
<러브레터>를 다시 봤다. 처음 이 영화를 본 것은 몇년 전 연말이었는데, 다시 보는 지금 역시 연말. 어떤 영화를 보는 일이 그 영화의 작동 방식과 비슷하다고 여겨질 때가 있다. 지나간 시간이 자꾸만 지금의 내게로 돌아오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은 이 영화가 마침 그런 방식으
글: 김화진 │
2025-01-07
-
[커버스타]
[비평] ‘남아 있는 장소를 위한 멜로드라마’, <러브레터>
죽은 잠자리가 발밑에서 모습을 드러냈을 때 상복을 입은 소녀는 그제야 인정한다. “아빠가 돌아가셨구나.” 잠자리가 죽은 것은 그저 과거형, 얼어붙은 호수의 표면 아래 박제된 형상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야말로 현재형이다. 자각이란 그런 식이다. 뒤늦게, 엉뚱하게, 잔인하게도 생생히 나타난다. 시간의 지속 속에서 우리는 그럴 때에야 이따금 ‘지금’을 산다. 감
글: 김소미 │
2025-01-07
-
[커버스타]
우리 모두의 기억이 되어, <러브레터>에 부치는 4가지 답신
<러브레터>의 대중문화사적 의미
1990년대 일본 멜로드라마, 추억 속의 사랑 이야기, 이와이 슌지 스타일, 오타루를 꿈꾸게 하는 영화. 어떤 의미로든 <러브레터>는 하나의 대명사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일본보다 한국에서 더 상징적으로 통용되는 <러브레터>에 관해 구전되는 전설은 이러하다. 극장에 개봉하거나 정식 비디오
글: 김소미 │
2025-01-07
-
[커버스타]
[커버] 여전히, 잘 지내나요?, 30년 만에 다시 만나는 <러브레터>
2025년 1월1일, 이와이 슌지 감독의 <러브레터>(1995)가 새해와 함께 다시 극장가에서 관객을 맞이했다. 작품의 상징성만큼 숱한 재개봉으로 익숙한 영화지만 이번엔 탄생 30주년이라는 남다른 의미와 함께다. 1999년 국내에 정식으로 첫 개봉했을 때와 같은 세로 자막 형태로 보다 정확하게 다듬은 번역도 제공된다. 눈 쌓인 오타루의 설원과
글: 씨네21 취재팀 │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