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비움과 관조의 미학, <스탑 메이킹 센스>의 촬영 분석
<스탑 메이킹 센스>의 연출과 촬영은 특별하지 않다. 이것이 이 다큐멘터리영화의 특별함이다. 가장 단순하고 미니멀한 촬영으로 영화사에서 가장 위대한 공연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든다.
“천국은 그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는 곳, 그 어떤 일도 벌어지지 않는 곳”이란 토킹 헤즈의 <Heaven> 속 가사처럼. 좋은 다큐멘터리는 세상의 좋은
글: 박홍열 │
2025-08-15
-
[스페셜2]
[특집] 걸작이 걸어온 40년의 시간, <스탑 메이킹 센스>를 향한 네 가지 질문
<스탑 메이킹 센스>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1979년 여름. 조너선 드미는 뉴욕에서 토킹 헤즈의 콘서트를 관람한 후 이들의 팬이 된다. 1983년 여름. 드미는 다시 한번 로스앤젤레스에서 토킹 헤즈의 라이브를 접하고 이들에게 공연을 영화로 만들어보자는 제안을 건넸다. 토킹 헤즈는 영화에 대한 창작자로서의 권리와 소유권을 온전히 유지하기 위
글: 정재현 │
2025-08-15
-
[스페셜2]
[특집] 토킹 헤즈 멤버를 소개합니다.
보컬의 이색적인 춤사위와 창법에 넋을 놓다 보면 베이시스트가 절정의 연주를 선보이다 <Genius of Love>에 이르러 보컬을 꿰찬다. 이내 드러머도 보컬 세션에 합류하더니 기타리스트가 키보드까지 섭렵한다. <스탑 메이킹 센스> 속 당신의 ‘최애 멤버’는 누구인가. 토킹 헤즈 4인방의 이름, 과거와 현재를 모아 소개한다.
데이비
글: 정재현 │
2025-08-15
-
[스페셜2]
[특집] 모든 상식을 해체하라, 토킹 헤즈의 영원한 생명력 <스탑 메이킹 센스>
대중음악의 팬, 특히 록 음악 마니아들은 집단적 기시감을 공유한다. 결코 돌아갈 수 없는 과거와 한번도 들러보지 못한 도시, 한번도 만나본 적 없는 음악가들의 역사적인 공연에 대한 익숙함이다. 1980년대 영국에 살지 않았더라도 머릿속에 ‘에-오!’를 외치는 웸블리스타디움에서의 프레디 머큐리와 퀸을 떠올리기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냉전의 벽을 망치로 때려부
글: 김도헌 │
2025-08-15
-
[스페셜2]
[특집] 음악영화의 전설의 레전드 – 조너선 드미가 연출한 토킹 헤즈 라이브콘서트 영화 <스탑 메이킹 센스>
굉음을 내는 악기 위로 인간의 육성이 음률을 따라 퍼진다. 예술가는 무대 위에서 카리스마를 생짜로 쏟아붓고, 관객은 무대 아래에서 울고 웃으며 춤춘다. 라이브엔 날것의 에너지가 들끓는다. 촬영과 편집을 동원해 유려한 화면을 만들어내는 영상으로는 절대 유발할 수 없는 정념이 솟구친다.
<스탑 메이킹 센스>는 토킹 헤즈의 라이브콘서트를 촬영,
글: 씨네21 취재팀 │
2025-08-15
-
[스페셜2]
[기획] 2025년 하반기, 주목할 영화산업 · 정책 키워드는?
말 그대로 폭풍 전야다. 지난 6월 출범한 새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부 조직개편에 대한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고, 오는 8월 중순 그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영화 관련 조직의 변화 역시 논외는 아니다. 조직개편에 따른 관련 인사 교체, 정책 변화 역시 이뤄질 계획이다. 또한 서울영화센터가 11월에 개소하고, 극장 할인쿠폰 사업으로 긴급 수혈한 극장가가
글: 이우빈 │
2025-08-14
-
[스페셜2]
[기획] 할인쿠폰 사업, 극장 살릴까?
지난 7월25일부터 시작된 450만장 규모의 극장 할인쿠폰 사업은 정말 극장가를 살렸을까. 표면적으로는 분명히 긍정적인 효과가 드러났다. 사업 진행 이후 극장 관객수의 유의한 상승이 일어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약 2달 동안 이뤄지는 단기성 사업이 극장가의 침체를 우상향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 여러 의문이 뒤따르고도 있다. 극장가의 오랜 침체가 결국엔 비
글: 이우빈 │
202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