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영화표값 어떻게 해야 할까?
극장업에 기반한 국내 영화산업이 위기라는 말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마치 양치기 소년의 우화처럼, 산업의 위기론이 이어질수록 왠지 모르게 이 위기감에 익숙해져 받아들이고 있는 분위기를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복수의 영화 관계자는 지금이야말로 “한국 영화산업을 위한 골든타임”이며, 문제의 핵심엔 영화표 값에 얽힌 생태계 전반의 개
글: 이우빈 │
2025-03-28
-
[스페셜2]
[기획] 그래서 <백설공주> 볼만하나요? - 디즈니 실사영화 <백설공주>가 원작에서 취하고 혹은 버린 것
1937년,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최초의 프린세스인 ‘백설공주’가 장편애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를 통해 탄생했다. 그로부터 90여년이 지난 올해, 새로운 해석을 더한 실사 <백설공주>가 당도했다. 그레타 거윅과 <걸 온 더 트레인>에 참여한 에린 크레시다 윌슨이 각본을 쓰고 <500일의 썸머>
글: 이지현 │
2025-03-28
-
[스페셜2]
[인터뷰] 마지못해 살아가는 이의 의지, <계시록> 배우 신현빈
형사 이연희(신현빈)의 삶의 동력은 죄책감이다. 5년 전 납치됐다가 가까스로 탈출했던 동생 연주(한지현)가 목숨을 끊자 동생을 구하지 못했다고 자신을 책망하며 살아간다. 연주를 납치했던 권양래(신민재)가 출소한 뒤부터는 그를 지켜보는 일로 겨우 버티던 연희에게 반드시 살아야 할 이유가 생긴다. 여중생 실종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를 보고받는 자리에서 권양래의
글: 이유채 │
2025-03-27
-
[스페셜2]
[인터뷰] 감정의 잔상, <계시록> 배우 류준열
“교회는 죄인들이 오는 곳입니다.” 범죄자 권양래(신민재)를 현혹하는 개척교회의 목사 성민찬(류준열)의 말은 참이다. 교회의 기본 교리가 신 앞에 스스로를 죄인으로 둔다는 사실을 차치하더라도 이 교회에서 소임을 다하는 민찬이 누구보다 죄의 구렁텅이 속으로 행군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찬은 자신이 저지른 모든 일들이 그저 하나님이 내린 계시고, 자신
글: 정재현 │
2025-03-27
-
[스페셜2]
[인터뷰] 믿음 너머, 직시하지 않을 때 더 또렷해지는, <계시록> 연상호 감독
- 잘 믿는 편인가.
믿기로 결심하는 편이다. 의심만 계속하는 상태에선 진행이 안되더라. 답이 나온다는 보장도 없고. 이젠 그냥 믿기로 했다. 다만 내 믿음이 잘못됐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그럴 경우 책임을 진다는 태도로 뭔가를 믿는다.
- 그렇다면 희망이 있다고 믿나.
물론이다. 나는 엄청 낙천적인 사람이다. 주위에도 다 그렇게 얘기하고 다닌다.
글: 이유채 │
사진: 백종헌 │
2025-03-27
-
[스페셜2]
[기획] 무의미한 패턴 속에서 발견한 절대적인 메시지를 맹신하는 인간의 본성, <계시록>
연상호 감독에게 믿음이 작가적 화두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초기 애니메이션(<돼지의 왕> <사이비>), 블록버스터영화(<부산행> <반도> <정이>), 근작 시리즈(<지옥> <기생수: 더 그레이>)까지 그는 줄곧 믿음이 불안정한 개인과 공동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
글: 이유채 │
2025-03-27
-
[스페셜2]
[기획] 당신이 믿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 <계시록> 리뷰와 연상호 감독, 배우 류준열·신현빈 인터뷰
사람의 지혜로는 알 수 없는 진리를 신(神)이 가르쳐 알게 함. ‘계시’의 사전 정의다. 전지전능한 존재가 인간의 머리로 도달할 수 없는 천기를 누설한다면, 설령 그 방도가 인간 세계의 규범과 어긋난대도 마땅히 응답해야 할까. <계시록> 속 민찬(류준열)은 신의 인도(引導)가 올바른 인도(人道)가 아님에도 신의 목소리를 따른다. 민찬이 걷는
글: 김송희 │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