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HAPPY BIRTHDAY! - <씨네21>이 기록해온 한국영화 30년사의 장면들
<씨네21>이 창간되고 30년이 흘렀다. 다만 1995년은 <씨네21>만의 생일은 아니다. 부산국제영화제, CJ ENM, 명필름, 싸이더스(당시 우노필름) 등 20~21세기를 거치며 한국 영화산업을 견인했던 이들이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한국영화의 상징적인 해이기도 하다. <씨네21>은 이 30년의 세월 동안 한주도 거르
글: 김소미 │
글: 조현나 │
글: 이우빈 │
글: 이유채 │
글: 정재현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25-04-04
-
[스페셜2]
[인터뷰] 속절없이 무너뜨리는 영화 - 배우 전소니의 영화관(觀) ②
유머, 그리고 꼿꼿함 - <토니 에드만>
- 연기에 관해 말하자면 <토니 에드만>의 잔드라 휠러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너무너무 좋았다! <토니 에드만>을 보고 어떻게 저런 배우가 있을 수 있나 싶었다. 그에 관해 더 잘 알고 싶은데 생각보다 잔드라 휠러에 관한 정보나 인터뷰가 한국에 잘 전해져 오질 않는다. 어쨌든
글: 조현나 │
사진: 오계옥 │
2025-04-03
-
[스페셜2]
[인터뷰] 속절없이 무너뜨리는 영화 - 배우 전소니의 영화관(觀) ①
많은 질문을 건넬 필요가 없었다. “아는 척하고 싶지 않아서 일부러 작품들을 다시 찾아보지 않았다”고 말하면서도, 전소니는 방금 극장에서 나온 관객처럼 영화를 볼 당시 주변의 공기, 풍경, 연쇄적으로 떠올랐던 질문과 기분을 있는 그대로 들려주었다. “강렬한 인상을 남긴 책과 영화에 관해 종종 적어둔다”는 그는 중간중간 자신의 메모를 들려주며 대화를 이어나갔
글: 조현나 │
사진: 오계옥 │
2025-04-03
-
[스페셜2]
[인터뷰] 내가 사랑하는 영화들 – 배우 이준혁의 영화관(觀) ②
불완전해서 아름다운 인간 - <바빌론> <파벨만스>
- 자연스럽게 <바빌론>으로 넘어갔다. 온갖 오물 범벅 속에서 영화 만들기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주 40시간 근로제가 업계 전반에 정착하기 전, 그날 방영본을 그날 촬영하던 옛 생각도 했다. 이렇게 쉽게 바뀔 수 있는 거였다면 대체 그때는 왜…. (웃
글: 정재현 │
사진: 오계옥 │
2025-04-03
-
[스페셜2]
[인터뷰] 내가 사랑하는 영화들 – 배우 이준혁의 영화관(觀) ①
그럴 줄 알았다. 분명 ‘영화란 무엇인가’에 해당하는 다섯 작품을 보내달라고 부탁했건만 인터뷰 전날 이준혁으로부터 열 작품이 도착했다. 두배에 달하는 목록을 보고 참 그답다 싶었다. 많이 알려진 대로 배우 이준혁은 영화 보기를 사랑한다. 지난 몇년간 이준혁의 시네필리아를 지켜보면 이따금 그가 영화를 사랑하다 못해 두팔 걷어붙이고 영화 사이에서 중매를 하고
글: 정재현 │
사진: 오계옥 │
2025-04-03
-
[스페셜2]
[기획] 영화가 좋아서, <씨네21>이 좋아서 – 배우 이준혁과 전소니가 들려주는 영화를 애정한다는 것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파벨만스>에서 말했듯 인생과 영화는 다르다. 비루한 오늘은 촬영으로 보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끊어진 인연은 편집으로 이어 붙일 수 없다. 연기와 연출은 살다 보면 언젠가 들통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랑하면 닮는다고 했던가. 어떤 이들은 영화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자신의 인생도 영화와 같기를 바란다. 급기야 경애의 대
글: 정재현 │
2025-04-03
-
[스페셜2]
[기획] 이 장면이 완성되기까지 - 강제규 감독이 말하는 <쉬리> 비하인드 더 신
“특수효과는 <쉬리>의 또 다른 열쇠가 될 거라 생각했다. 총격전에서 벌어지는 스파크 하나에도 정두환 기사님과 엄청나게 많은 테스트를 했다. 테스트만 하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예를 들어 어떤 총기가 어떤 포지션에 있을 때 어떤 색깔, 어떤 모양으로 불꽃이 튀는지 계속해서 확인했다. 거의 과학 실험실이나 마찬가지였다. <쉬리>의 특수
글: 이자연 │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