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뉴스]
영화의 바다에 빠질 시간, 제 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은?
개막이 한달도 채 남지 않은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가 상영작을 발표했다. 9월5일 진행된 부산영화제 온라인 기자회견엔 남동철 집행위원장 직무대행과 강승아 운영위원장 직무대행이 참석했다. 개막작은 장강명의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한국이 싫어서>다. <한여름의 판타지아>를 연출한 장건재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으며, 행
글: 정재현 │
2023-09-08
-
[국내뉴스]
[김조한의 OTT 인사이트] 라이브 TV에 집중하는 구글과 아마존
OTT에 신작이 나오는 것 외에는 큰 이슈가 없는 지금, 가장 많은 인터뷰와 기사가 나오는 곳은 광고 기반의 무료 방송인 패스트(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 분야다. 삼성, LG와 같은 TV 제조사뿐만 아니라 운영체제(OS)에 관여해 자신들의 TV 플랫폼을 확대하는 구글, 아마존도 이 분야에 뒤늦게 뛰어들고 있다. 최근 쇼츠에만 관심 있어
글: 김조한 │
2023-09-01
-
[국내뉴스]
CGV, 복합 체험 공간으로 거듭난다, 2023 CGV 영화산업 미디어 포럼 개최
8월30일에 열린 2023 CGV 영화산업 미디어 포럼에서 CJ CGV는 ‘NEXT CGV 전략’을 바탕 삼아 CGV를 체험형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변화시키겠다고 밝혔다. 4DX, ScreenX 등의 기술특별관 확충과 함께 프라이빗 박스, 템퍼시네마, 골드클래스와 같은 프리미엄관을 늘린다. 개별 매트리스에 누워 영화를 관람하는 ‘템퍼시네마’처럼 고급 특별
글: 이우빈 │
2023-09-01
-
[국내뉴스]
‘천만 관객 영화’ 옛말 되나, 문화체육관광부, 박스오피스 집계방식 관객수에서 매출액으로 변경 지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에 박스오피스 집계방식의 변경을 지시했다. 집계기준을 ‘관객수’ 중심에서 영화의 흥행 수익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매출액’ 중심으로 바꾸라는 방안이다. 영진위는 박스오피스 집계의 근거인 ‘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이하 통합전산망)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문체부는 통합전산망 자료를 고의로 누락
글: 이우빈 │
2023-08-25
-
[국내뉴스]
[김조한의 OTT 인사이트] 지속된 파업, 미국 미디어 시장의 돌파구는?
미국의 작가·배우 조합 파업이 지속되는 가운데, 매달 고객들에게 돈을 받는 유료방송(한국은 대부분이 IPTV지만 미국은 여전히 케이블, 위성방송이 대부분이다)과 OTT 플랫폼의 고민은 커져가고 있다. 특히 유료방송의 타격이 큰데, 24시간 방송을 틀어야 하는 방송사에 새로운 드라마가 제작되지 않는다는 것은 심각한 위기일 수밖에 없다. 재방송으로 편성을
글: 김조한 │
2023-08-18
-
[국내뉴스]
'상생하려면 우선 정당한 보상부터', 국회 모인 영화 창작자들, 정당한 보상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 촉구
지난 8월14일 국회소통관에 영화인들이 모여 영상 창작자의 정당한 보상을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 조속 통과를 촉구했다. 지난해 8월과 9월,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영상저작물 저작자의 비례적이고 공정한 보상을 위한 보상금 제도’를 신설하는 저작권법 개정안을 각각 대표 발의했으나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법안 소위에 한 차례 상정된 뒤
글: 김소미 │
2023-08-18
-
[국내뉴스]
“등록문화재 지정을 원한다”, 원주 아카데미극장 철거 둘러싼 논란 계속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의 원주 아카데미극장 철거 절차가 임박하자 ‘아카데미의 친구들 범시민연대’(이하 아친연대) 및 문화연대, 문화예술단체들이 목소리를 모아 문화재청에 아카데미극장의 등록문화재 직권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7월26일 아친연대와 문화연대가 해당 내용을 담은 기자회견을 연 데 이어 8월3일 전국 문화예술인 1300여명의 연명이 담긴 요청서를 문화
글: 이우빈 │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