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장이독자에게]
[송경원 편집장의 오프닝] “니가 앞으로 뭘 하든, 하지 마라”(영화 <넘버 3> 중)
다이내믹 코리아에서 주간지는 괴롭다. 대체로 실시간, 일간보단 사유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지만 때때로 극한 직업이 된다. 12월12일 목요일 아침 어느덧 네 번째 버전의 ‘편집장의 말’을 쓰고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글이 오늘 마감 끝날 때까지 온전히 유지될 거란 자신이 없다. 시시각각 바뀌는 상황에 맞춰 새로 글을 쓰는 중이다. 목요일 마감날 다
글: 송경원 │
2024-12-13
-
[스페셜2]
K팝, 응원봉, 깃발의 세례 속에서 감독들이 되새긴 것은 - 영하의 촛불이 누구에게나 영화롭기를
“과거부터 지금까지 늘 해왔던 것처럼 그렇게” (김일란) 움직이자고 여성과 소수자들의 시민사회 운동을 독려하고, “계엄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수어, 문자통역 등의 장애인 정보접근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 (이길보라)을 지적하는 등 탄핵의 역사와 과정은 물론, 그 이후를 위한 질문을 던지는 영화감독들의 전언을 모았다. 이들의 목소리는 공교롭게도 비상계엄 해제
글: 김소미 │
2024-12-13
-
[스페셜2]
침묵하지 않는 영화인들, 거리에 나선 동료 시민에게 전하는 희망의 목소리
“상황이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이 또한 민주주의 공부의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신작 <어쩔수가없다> 를 촬영 중인 박찬욱 감독이 <씨네21>에 보내온 전언이다. 비상계엄령 당일, 국회 앞을 가로막은 군인들 다수의 ‘진의’에서 그는 역사가 남긴 양심을 보고자 한다. “군인이 명령을 소극적으로 따르려고 할 때에는 엄청나게 적극적인 용기가
글: 김소미 │
2024-12-13
-
[스페셜2]
[기획] 윤석열 퇴진 촉구하는 영화인들의 긴급 성명 “윤석열은 퇴진하라”
2024년 12월3일 밤 10시28분.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령이 6시간만에 해제된 이후 이에 반발하는 영화인들이 거세게 움직이고 있다. 1, 2차 긴급 성명과 연명을 이어가는 윤석열 퇴진 요구 영화인 일동, 국회 앞에서 시국선언문을 낭독한 윤석열 퇴진 예술행동의 움직임을 정리했다. 짧았던 내란 미수와 비교할 수 없이 거리의 행렬이 길고 끈질긴
글: 씨네21 취재팀 │
2024-12-13
-
[대학탐방]
[서울사이버대학교 심리학과, 문화예술경영학과] 예술기관과 지역 축제에서 현장 감각과 실무능력 익힌다
홈페이지 apply.iscu.ac.kr/
전화번호 02-944-5000
심리학과 이우경, 허묘연, 채정민, 한수미, 김환, 김현아, 김현진, 김지연, 최혜라
문화예술경영학과 이의신, 김선영, 김형석, 장일범, 이흥재, 손미정, 손상원, 김광현, 백기영, 김용제, 안지언, 정은현, 박병성, 윤성진, 이상연, 윤광식, 김도현, 이제승, 김소혜
커리
글: 이유채 │
2024-12-16
-
[대학탐방]
[정화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부 영상제작전공, 연기전공] 전문적인 매체 환경을 완벽하게 익힌다
홈페이지 ipsi.jb.ac.kr
전화번호 02-3789-2020
영상제작전공 이재용, 전기주, 한동현, 강동균, 류진희, 박현규, 이상노, 백철기, 심정민
연기전공 김성택, 최종환, 임주현, 서철, 김기훈, 박경배, 최광호, 박초롱, 김선영, 박응석, 박미란
커리큘럼
학부공통 융합예술과미디어, 공연과융합예술, 행복나눔크리에이터, 예술과기술의융
글: 최현수 │
2024-12-16
-
[대학탐방]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예술대학 영화과] 한계 없는 제작 지원으로 독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다
홈페이지 uni.dongseo.ac.kr/film
전화번호 051-950-6544
교수진 김대승, 제창규, 이무영, 손현석, 김정선, 강동헌, 안광섭
커리큘럼
영화입문, 극작, 촬영과조명기초, 영화보기와영화읽기 1, 2, 시나리오작법, 영화사1, 2, 영화편집기초, 동시녹음기술, 영화제작실습, 사운드프로덕션, 촬영-비주얼스토리텔링, 영화편집실습,
글: 남지우 │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