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탐방]
[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세상과 소통하는 전문 영화인을 양성한다
단국대학교(이하 단국대) 공연영화학부 영화전공 교수진은 최근 많은 변화를 겪었다. 단국대 내 독립대학원으로 전문영화인 양성에 힘썼던 단국대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이 기존 문화예술대학원 산하의 영화학과로 개편되면서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교원이었던 박기용, 김태용, 김선아 교수가 공연영화학부로 소속을 옮겨서 학부 학생들을 가르치게 된 것이다. <모텔 선인장&
글: 배동미 │
2021-09-07
-
[대학탐방]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뉴미디어 환경도 앞서 나갈 수 있는 탄탄한 커리큘럼
경희대학교(이하 경희대) 연극영화학과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배우와 방송인, 영화인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학교다. 배우 공유, 이주영, <기생충>의 장영환 프로듀서, 뮤지컬 배우 옥주현 등 경희대 연극영화학과 출신 동문들이 매체와 공연계에서 다각도로 활약 중이다.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 국립오페라단 단장 등 국가 및 민간의
글: 김소미 │
사진: 박종덕 │
2021-09-07
-
[대학탐방]
[건국대학교 영상영화학과] KU시네마테크에서 내 영화를 상영한다
영상문화 분야가 점점 더 확장되어가고 있다. 건국대학교(이하 건국대) 영상영화학과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발맞춰 영상디자인과 애니메이션, 영화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동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국대 영상영화학과에서는 세계영화사, 영상제작워크샵 같은 전통적인 영화과 강의에서부터 모션그래픽, VR워크샵 등 첨단 영상을 위한 강의까지 모두
글: 배동미 │
2021-09-07
-
[대학탐방]
[서울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뷰티디자인학과] ‘현장 중심’을 최우선 가치로
서울사이버대학교는 코로나19 시대에 굳건히 학과 수업을 이어갔다. 많은 대학이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 사이버 강의를 고심하는 사이 서울사이버대학교는 사이버대학으로서 쌓아온 그동안의 노하우를 발휘했다. 서울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문화예술경영학과는 예술경영 분야에서 20~30년 경력을 가진 교수진들이 온오프라인을 오가며 학생들을 만나
글: 배동미 │
2020-12-07
-
[대학탐방]
[동국대학교 전산원 영화학전공] 영화 제작뿐 아니라 영상이론까지 실습형 교육
워크숍을 통해 개인의 영화적 세계가 담긴 결과물을 완성시키고, 영화제에 출품해 실력을 인정받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쌓인 내공을 바탕으로 한명의 영화인으로 현장에 투입되거나 대학원에 진학해 그다음 단계를 개척해나간다. 동국대학교 전산원 영화학전공의 로드맵은 이처럼 명확하다.
2007년 문을 연 동국대학교 전산원 영화학전공은 ‘영화영상 전문인력 배양’
글: 배동미 │
사진: 오계옥 │
2020-11-10
-
[대학탐방]
[정화예술대학교 영상미디어학부] 레거시 영상 문화와 뉴미디어를 함께
정화예술대학교 영상미디어학부는 지상파 방송과 같은 레거시 미디어와 유튜브로 대표되는 다양한 뉴미디어콘텐츠에 통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세부 전공은 2021학년도부터 방송영상, 뉴미디어콘텐츠, 미디어크리에이터전공으로 개설될 예정이다. 방송영상전공은 방송 프로그램과 영화 제작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뉴미디어콘텐츠전공은 오리지널 I
글: 배동미 │
사진: 박종덕 │
2020-09-17
-
[대학탐방]
[정화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신체·목소리·캐릭터… 정화예술대학교만의 삼박자 교육
정화예술대학교 공연예술학부는 2019학년도 과정부터 연기전공, 뮤지컬전공, 공연기획제작전공으로 나누어 예술가들을 양성하기위해 노력 중이다. 학생들은 세분화된 전공 개설을 통해 지난 1년사이 많은 변화를 체감할 수 있었다. 정화예술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생들은 지난해부터 ‘제28회 젊은 연극제’에 출품을 시작해 동시대 연극의 흐름을 파악하고 자신들의 실력을
글: 배동미 │
사진: 박종덕 │
202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