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세 여성 노동자의 서울 생존기

<도시로 간 처녀>

버스 안내양으로 취직한 문희(유지인)는 그가 꿈꾸는 삶을 살 수 있을까.

제작 태창흥업 / 감독 김수용 / 상영시간 105분 / 제작연도 1981년

서울에서 버티는 세 청년들의 이야기는 여성 버전으로 이어진다. 김수용 감독의 <도시로 간 처녀>는 1980년대 초입 서울을 배경으로 시골에서 올라와 도시 빈민으로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전해 이장호가 연출한 <바람불어 좋은 날>을 떠올리게 한다. 1970년대 중반 이만희, 임권택 등 충무로 중견감독들은 영상시대를 위시한 신예감독들의 새로운 영화와 적극적으로 교감했고 활발하게 그들의 영화세계를 수용했다. 김수용 역시 후배감독들의 작업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지켜보며 과감하지만 거칠기도 했던 뉴웨이브 감독들의 영상과 사운드 스타일을 더 정교하게 다듬어 자신의 영화에서 선보였다. 일례로 이장호의 데뷔작 <별들의 고향>(1974)에서 처음 영화음악을 맡았던 강근식은 이후 <내 마음의 풍차>(1976)부터 <도시로 간 처녀>까지 김수용 감독의 작품에 참가한다.

<도시로 간 처녀>의 각본은 소설가 김승옥이 맡았다. 당시는 도봉구였던 상계동 버스 종점에서 3개월 이상 머물며 버스 안내양들의 생활을 취재해 완성했다. 크레딧상으로는 그의 오리지널 시나리오로 기록되어 있지만, 사실 우여곡절이 많았던 오래된 프로젝트였다. 홍성원 작가의 중편 <흔리는 땅>을 원작으로 1976년 처음 김승옥이 시나리오를 썼는데, 검열 과정에서 전면 개작 통보를 받고 결국 영화화되지는 못했다. <도시로 간 처녀> 역시 개봉까지, 또 개봉 이후에도 지난한 고초를 겪었는데, 이는 한국영화사 기술에서도 중요하게 거론되는 사건이다. 인권 침해 그리고 창작과 표현의 자유라는 각자의 가치를 놓고 노동계와 영화계가 거세게 부딪혔고 문화공보부(이하 문공부)뿐만 아니라 노동부까지 이를 수습하느라 골머리를 앓았다.

태창흥업이 제작 신고를 넣은 것은 1981년 1월이다. 문공부는 시내버스 안내양의 음성 수입, 즉 ‘삥땅’ 수법을 정면으로 다루려는 영화에 우려를 표하며 부정적인 묘사보다 계몽적인 내용을 부각해 만들라고 통보한다. 3월부터 촬영을 시작한 영화는 6월 105분 버전으로 완성되어 본편 검열을 받는다. 이때부터 영화를 둘러싼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버스 안내양 문희(유지인)가 강제로 몸수색을 받다 신체 일부가 노출되는 장면과 문희가 투신자살하는 마지막 장면 등 세 군데의 화면 삭제와 한 군데의 화면 단축 처분을 받았고, 사회적 물의가 야기될 경우 상영을 중지시키겠다는 각서까지 제출한 후에야 통과 된다. 한편 제작사는 엔딩의 투신 장면이 잘려나간 채로 개봉할 수는 없다고 판단해, 마지막 부분을 다시 촬영해 검열을 받는다. 서울로 돌아온 광석이 버스에서 연인 문희의 일을 회상하는 장면을 추가해 엔딩을 보완했고, 9월 최종 검열에 통과해 뒤늦은 12월3일 중앙극장에서 개봉한다.

더 큰 문제는 개봉 후에 일어났다. 버스 안내양 200여명이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사무실에 모여 농성을 벌인 것을 발단으로 12월9일 한국노총은 문공부 장관 앞으로 상영금지 요청 공문을 보냈고, 제작사는 각서대로 11일부터 상영을 멈춘다. 자동차노조 소속 운전기사와 안내양 15만명의 명예를 손상하고 인권을 유린했다는 주장이었다. 인상적인 대목은 제작사가 영화를 살리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던 점이다. 영화의 엔딩을 또다시 촬영하고 재편집해 1982년 1월과 2월 자동차노조원들이 참가한 시사회를 두 차례 개최했고, 3월 다시 검열 합격증을 받아 6월12일부터 서울극장에서 재상영했다. 버스 안내양들이 음성적인 수입을 만드는 장면과 관련 대사들이 모두 삭제됐고, 영화의 계몽적 가치를 강조하는 내레이션이 서두에 붙었다. 세 번째 바뀐 결말은 죽지 않고 부상당한 문희가 광석과 함께 서울로 돌아온 것으로 처리한 해피엔드였다. 김승옥의 최초 시나리오 버전으로 돌아간 것이다. 현재 볼 수 있는 영상자료원이 복원한 버전은 이 영화가 겪은 검열 과정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지난한 검열 과정에서 사라졌을 오리지널 네거티브 2롤의 자리는 낡은 프린트 버전의 화면들로 최대한 채웠다. 검열로 잘려나간 부분까지 볼 수는 없지만 105분 버전의 사운드 필름은 그대로 보존된 덕에 소리를 통해서나마 그 장면들을 상상해볼 수 있다.

영화는 상경 기차 속 문희의 장면으로 시작한다. 선반에 매달려 있는 분홍색 아기 신발과 모자를 쳐다보는 단정한 모습은 그녀가 서울에서 꿈꾸는 삶을 설명해준다. 오프닝 크레딧 배경 화면으로 새벽 용산역에 내린 문희가 곧장 버스 안내양을 양성하는 학원으로 가서 치마 속에 감춰둔 돈으로 등록하고 교육받는 모습이 흘러간다. 한 시내버스가 정류장에 멈추고 버스 안내양 영옥(이영옥)이 하차하는 승객들로부터 요금을 받는다. 그 버스에는 안내양으로 취직하기 위해 종점의 회사로 가는 문희와 성애(금보라)가 타고 있다. 영옥은 노래를 부르는 척 기사 몰래 돈을 숨긴다. 이때 카메라는 세 여성의 얼굴을 가깝게 잡으며 이들의 이야기가 시작됨을 알려준다.

배차 사이 17분 동안 입금, 식사, 용변까지 해결해야 하는 힘든 생활이지만 중학교 중퇴 학력의 문희는 “떳떳한 직장 여성”을 꿈꾸며 성실하게 일한다. 반면 영옥은 삥땅한 돈을 모아 택시를 살 거라 다짐하고, 성애 역시 가슴 졸이며 삥땅한 돈으로 가족을 부양한다. 영화는 세 버스 안내양의 이야기를 하나씩 펼쳐낸다. 유부남 김 기사(한소룡)와 친해진 영옥은 안내양을 그만두고 그와 같이 택시 일을 하게 되지만, 그의 가족들과 마주치며 관계를 포기한다. 성애는 버스에서 반한 남학생(홍승일)에게 고백하지만 부잣집 아들인 그에게 크게 상처받은 후 정신을 잃고 안내양을 그만두게 된다. 문희는 시내버스에서 잡상인을 하는 광석(김만)이 가르치는 야간 학교에 참가하며 그와 가까워진다. 지방대학을 다니던 그는 어떻게든 서울에 남고 싶지만 문희와의 미래를 위해 원양어선에 오른다.

버스 안내양들의 삥땅이 심해지자 회사 경영진은 더 심하게 그녀들을 대한다. 문희는 동료들의 빨래까지 해주고 모은 돈을 삥땅한 것으로 오해받지만 끝까지 올바른 사람으로 남는다. 안내양들의 옷까지 벗기는 몸수색이 이뤄지자 문희는 회사 옥상으로 올라가 안내양은 사람도 아니냐며 몸수색을 중지해 달라고 울부짖고 그들을 대신해 용서를 빈다며 뛰어내린다. 이때 버스 안내양들의 고단한 업무를 상징하는 토큰 계수기가 돌아가는 장면이 프리즈 프레임된다. 세번이나 촬영한 엔딩은 목발을 짚은 문희가 광석의 부축을 받으며 안내양 시절의 버스에 올라타 ‘이문희를 잊지 말자’라는 표어를 직접 보는 장면이다. 한국 사회에서 버스 안내양이라는 고달픈 직업이 사라진 건 1980년대의 마지막 해였다.

*이번 칼럼을 끝으로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연재를 마칩니다. 필자와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