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비평
<메기>가 세상을 구하는 방식
조현나 2019-10-24

심연을 들여다보는 목소리

<메기>에서 엑스레이 사진은 기존의 목적과 다르게 사용된다. 인물들은 육안으로 확인 불가한 인간 내면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 현상을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뼛속까지 드러난 부분적 신체들의 외적 행위에 주목한다. 즉 ‘밖에서 안으로’ 향해야 할 시선이 도리어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인물들의 시선은 섹스라는 자극적 정황에 현혹되어 외부로 향한다. 그들은 해당 사건을 쾌락적으로 소비하는데 이는 곧 행위의 주체를 찾는 ‘탐정 놀이’로 이어진다. 윤영(이주영)은 사진 속 주인공이 자신이라 의심하고 여러 버전의 사직서를 작성하며 퇴사를 고려한다. 반면 허락 없이 타인의 사생활을 기록한 촬영자는 이 과정에서 생략된다.

<메기>는 여러 내러티브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영화는 개개의 내러티브를 심도 있게 조명하기보다 주로 사건의 일면만을 제공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 일면들은 독창적인 위트와 재기발랄한 미장센을 통해 인물과 관객을 매료시킨다. 가령 재개발 이슈의 경우, 카메라는 소위 힙한 반대 시위 장면만 중점적으로 부각한다. 해당 지역 주민인 윤영과 성원(구교환)은 곧 쫓겨날 위기에 처해 있으면서도 위기의식 없이 그저 시위가 예술이라며 감탄한다. 그들이 탄 자전거는 시위장면 구석을 스쳐 사라질 뿐이다. 갑작스레 등장한 싱크홀을 바라보며 관객이 물음표를 떠올리기 무섭게, 영화는 쓰레기를 투기하는 시민과 취직해서 신난 성원, 싱크홀 복구 장면들을 연달아 보여준다. 싱크홀에 관한 의문은 쏟아지는 정보들에 휩쓸려 증발하고 관객은 이내 다른 곳으로 관심을 돌린다. 이처럼 영화는 불법 촬영, 재개발, 싱크홀 같은 문제들의 파편적 이미지들을 쉼 없이 제공한다. 제공된 이미지들은 특유의 독특함으로 관객을 강렬하게 붙잡으며 그들이 사건의 본질에 다가가지 못하게 만든다. 영화는 문제에 접근하려는 인물들의 시도 역시 차단한다. 윤영이 재개발 지역에 무엇이 들어서냐고 운을 띄우지만 돌아오는 것은 성원의 잘 모르겠다는 대답뿐이다. 공사 현장의 인부는 싱크홀에 관심을 갖는 행인에게 위험하니 어서 가라고 손짓한다. 이처럼 관객과 인물은 영화적 장치에 가로막혀 사건의 외부에만 머무른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이들을 사건 내부로 인도하는 목소리가 존재하는데, 바로 메기의 목소리다.

의식을 환기하는 질문들

메기는 인물들과 동일한 세계에 있으면서도 수조라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내레이터다. 비인격체로서 언어적 소통 또한 불가하므로 철저한 거리두기가 가능해진다. 메기는 그간의 목소리가 자기 것이었음을 밝힌 직후 다음과 같이 묻는다. “윤영씨, 아직도 엑스레이가 윤영씨 것이라고 믿고 있어요?” 또한 공사장 인부에게 저지당한 행인을 바라보며 “싱크홀을 구경하려는 심리는 뭘까요?”라고 의문을 제기한다. 위의 질문들을 통해 메기는 병원의 안정화와는 별개로 엑스레이 사건이 해결된 바 없이 일단락되었으며, 행인은 사실상 싱크홀 자체에 관심을 가진 유일한 인물임을 시사한다. 이처럼 그는 인물과 관객이 지나쳤거나 지각하지 못한 요소들을 예리하게 감각하고 그것을 질문의 형태로 변환해 전달한다. 인간이 감지하지 못한 지각변동을 느끼고 수면 위로 튀어오르듯이 말이다. 그의 질문은 어떤 영화 장치로도 걸러지지 않은 채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관객의 의식을 환기한다. 메기의 질문은 다음과 같이 확장 가능할 것이다. 불법 촬영 사건은 왜 범인이 아닌 피해자만 조명하며 유희적으로 소비되고 잊힌 것인지, 어째서 정부는 싱크홀이라는 재난에 관한 직시와 원인규명 없이 그것을 메우기에만 급급한지.

영화가 메기를 세상을 구하는 물고기(The fish who saved the planet)라고 명명한 것에 집중해보자. 그는 무엇으로 세상을 구하는가. 어떤 점이 여타 인물들과 다르게 작동하고 있는가. 요컨대 현상의 근원을 감지하고 그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태도가 아닐까. 관객과 인물 모두 사건들의 표상적 이미지에 현혹되어 있을 때, 메기는 현상의 근원을 바라보고 질문을 던지며 그 문제점에 주목한다. 외부로 향하던 시선이 마침내 내부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영화는 메기와 메기 아빠(권해효)의 대화를 통해 실상 세상에는 편집된 사실만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믿음과 의심의 양립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경진(문소리)과 윤영이 믿음 교육을 통해 의사와 환자의 진실을 목도하면서, 자신들의 신념을 계속해서 바꿀 수밖에 없던 것처럼 말이다. 온전한 사실은 부재하다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라면, 주어진 정보만으로 상대를 의심하고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태도는 오히려 지양해야 한다. 그러한 태도는 성원이 동료를 도둑이라 단정하고 경진이 직원들이 거짓말을 한다고 판단한 것과 같은 오해를 양산할 뿐이기 때문이다. 메기가 언지한 대로, 영화는 우리가 “믿음을 검으로, 의심을 방패로” 여기며 둘을 함께 손에 쥐고 “전진”해야 한다고 말한다. 경진과 윤영이 중립 상태로 의사의 집을 찾아간 것처럼, 우리는 혼자 의심을 키울 것이 아니라 직접 움직여 진실을 마주해야 하는 것이다. 윤영이 성원의 데이트 폭력 전력에 관해 상담할 때 경진은 “나라면 성원씨에게 직접 물어볼 것 같아요”라고 말한다. 메기가 그러했듯 경진과 윤영은 질문이라는 방법을 통해 사건의 심연을 바라보기로 결정한다.

내부로 시선을 전환할 때만이

“여자 때린 적 있어?” 윤영이 묻자 성원의 긍정과 함께 거대한 싱크홀이 형성된다. 이상한 점은 한 공간에 가깝게 자리한 둘 중 오직 성원만이 싱크홀 속으로 낙하했다는 것이다. 무엇이 두 사람을 구덩이의 안과 밖이라는 분리된 공간에 존재하게끔 한 것일까. 영화에서 윤영은 구덩이를 두번 마주친다. 처음 구덩이를 보았을 때 윤영은 생각하지 않기로 하며 이를 지나친다. 그러나 두 번째로 구덩이를 마주했을 때 윤영은 도망가던 발걸음까지 돌려가며 이를 오래도록 내려다본다. 그녀의 시선이 구덩이 내부로 향하자 그 속에는 윤영의 이름을 외치는 성원이 존재한다. 혼자 판단하는 행동이 무의미함을 인지한 후 윤영은 성원을 직접 찾아가 전 애인을 때렸는지 묻고, 이를 통해 의심의 형태로만 존재하던 문제를 정면으로 직시한다. 그러나 성원은 그저 윤영의 행동에 수동적으로 응할 뿐이다. 말하자면 성원과 윤영은 문제의 본질을 자의적으로 직시했는가, 아닌가 하는 점에서 극명히 대비되고 있는 것이다. 구덩이를 메우던 성원은 결국 구덩이를 파고 들어간 것과 다름없는 결과를 맞이한다.

실상 사건의 본질을 마주하기란 쉽지 않다. 우리는 피상적 현상에 시선을 빼앗기거나 그것조차 무관심하게 지나치기도하고, 문제 처리에 급급해 본질을 외면하기도 한다. 해결 의지를 잃고 침묵하거나 진실을 아는 게 두려워 혼자 판단하고 의심하기도 한다. 그러나 앞서 보았듯 위와 같은 방식들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성원처럼 오히려 구덩이 속으로 깊이 파고 들어갈 뿐이다. “구덩이에 빠졌을 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구덩이를 더 파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 얼른 빠져나오는 일이다.” 메기가 그리고 윤영이 그러했던 것처럼 시선의 방향을 내부로 돌려 심연을 들여다볼 때, 다시 말해 사건의 본질을 직시하고 의문을 제기할 때 우리는 비로소 구덩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