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비운의 시대상황과 천출의 운명을 조롱하며 오로지 예술혼에 살다가 죽은 오원 장승업(1843~1897?)의 삶을 극적으로 그렸다. 지배세력의 수탈과 열강의 침탈이 극심해지던 때 어디서 태어나 언제 어디서 사라졌는지도 알 수 없는 오원의 삶은 그 예술혼의 비극성을 극단으로 끌어올린다.청계천 거지소굴 근처에서 죽도록 맞고 있던 어린 장승업은 선비 김병문(안성기)의 손에 구해진다. 김옥균 등 개화파와 가깝게 지내던 선비 김병문은 평생에 걸쳐 승업(최민식)을 이끌기도 하고 되잡아주는 존재가 된다. 승업의 손재주를 눈여겨 본 병문은 그를 한 역관에게 소개한다. 거기서 승업은 운명의 첫사랑 소운을 만나고, 진귀한 중국 화첩을 훔쳐보며 그림에의 열정을 갈무리해간다. 곁눈질로 본 중국 진적을 모사한 것이 진적보다 훌륭한, 귀신같은 눈썰미와 손재주는 얼마지않아 그를 장안 최고의 환쟁이로 소문나게 한다. 그러나 명성의 높아짐에 비례해 자신의 예술세계를 향한 열망이 커가면서 그의 기행은 극으로 치닫는다. 오로지 술과 여자에 취해 신명이 나야만 그림을 그리던 승업은 임금의 어명조차 어기고 궁궐에서 줄행랑을 치기도 한다. 어느날 밤 만취해 손가락으로 그린 원숭이는 승업이 이룬 세계의 한 단면을 보여줬지만 현실은 완전한 변신을 용납하지 않는다. 이름을 날리기 시작할 무렵 만난 기생 매향(유호정)은 그의 운명의 사랑. 그러나 이마저 허락하지 않는 시대적 상황은 오원의 광기에 기름을 붓는다. 정일성 촬영감독이 잡아낸 <취화선>의 화면은 아름답다. 가끔은 숨이 막힐 정도로 기막힌 색감을 보여주는 넓은 전경들이 펼쳐진다. 빠른 속도의 전개, 롱테이크를 배제한 드라마틱한 인물 부각 등은 임권택 감독의 최근작들 가운데 <취화선>을 가장 대중적으로 보이게 한다. 마지막 부분 활활 타는 가마 앞에서 앉은 장승업의 눈은, 최민식의 연기 가운데 최고라 할 만하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바로 이야기다. 영화는 장승업의 일생과 불행한 조선말기의 시대를 두 축으로 엮어 나가는데, 때로는 그 시대상황이 장승업의 생애에 대한 몰입을 방해한다. 이 시대를 설명하려는 의도는 과도한 김병문의 역할 설정으로까지 비약한다. 김영희 기자do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