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트랩> 박신우 감독 -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되 현실과 밀착된 이야기
임수연 사진 백종헌 2019-02-07

-원래 영화로 돌던 시나리오를 드라마로 만들었다고.

=1년 넘게 필름몬스터에서 영화로 준비하던 시나리오였다. 지난해 초쯤 같은 제작사의 영화 <완벽한 타인>(2018)이 촬영 중반에 접어들고 나도 <트랩>을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했는데, OCN에서 제작 지원을 받기 위해 제출했던 시나리오를 우연한 경로로 접하고 드라마로 만들면 어떻겠느냐고 역으로 제안했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더 잘할 수 있을 방법이라 생각해 영화를 4부작 드라마로, 그러다 7부작으로 더 확장하게 됐다. 큰 구조는 그대로인데, 강우현(이서진)과 그의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 고동국(성동일)의 전사가 보강돼 캐릭터의 깊이를 만들었다. 드라마에 나오는 클럽의 캐릭터도 구체화하는 등 조·단역들의 디테일도 더 살렸다. 전반적으로 안타고니스트들이 더 강화됐다.

-두달 반 만에 7부작 드라마를 찍었다. 어느 파트에 공을 들여야 하는지 판단하는 게 관건이었겠다.

=촬영 들어가면 일정이 바쁘게 돌아갈 테니 사전 준비를 꼼꼼하게 했다. 아마 드라마로는 처음으로 전체 콘티 작업을 다 하고 들어간 작품일 것이다. 그러려면 대본이 미리 나와야 한다. 영화는 플롯 중심이었는데 드라마가 되면서 캐릭터 중심이 됐고, 인물관계나 캐릭터의 깊이, 레이어를 쌓아가려고 신경을 많이 썼다. 영화적인 룩에 대한 고민도 있었다.

-한정된 시간에 영화적인 비주얼을 얻기 위해 고민이 있었을 텐데.

=<트랩>은 붙박이로 찍는 메인 세트가 없다. 초반의 병원 신이나 산장 카페처럼 단발적인 세트를 제외하고는 전부 로케이션이었다. 세트를 지으면 당연히 감독이 원하는 그림을 수월하게 얻을 수 있겠지만 비용 문제도 있었고 고정된 세트가 있으면 오히려 단조로워지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섭외팀이 고생을 많이 했다. 대신 실제 장소에서 촬영하면서 화면이 좀더 생생해졌다. 리얼한 공간이면서 뻔하지 않고 극적인 재미가 있는 공간을 찾으려고 애를 많이 썼다.

-원래 영화였던 시나리오를 드라마 <특수사건 전담반 TEN>의 남상욱 작가와 함께 TV시리즈로 각색했다.

=영화는 한 호흡으로 달린 후 끝나지만, 드라마는 작은 산이 많고 그 산을 어떻게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이다. <트랩>에는 회마다 소제목이 있다. 회마다 그 소제목을 향해 이야기가 달려가고, 소제목들이 모여 우리가 하고자 하는 큰 이야기를 만든다. 회당 에피소드와 전체 이야기가 따로 노는 ‘투트랙’ 구성이 아닌 거다. 멜로 같은 사족도 없다. 어떤 사건만 좇아서 속도감 있게 달려간다. 아마 드라마 같지 않은 전개라고 느낄 거다. <트랩>은 회마다 반전이 있다. 조·단역들에게도 반전이 있고, 전체 이야기의 반전도 있는데, 반전이 엄청 많은 게 또 매력이다. 영화였다면 전체 반전의 매력을 충분히 보여주기 어렵다는 고민이 있었는데, 드라마가 되면서 반전에 깊이를 만들 수 있었다. 또 러닝타임이 짧은 영화는 반전이 밝혀진 다음 얼마 지나지 않아 끝나야 하는데, 드라마는 반전을 통해서 하고 싶은 이야기에 더 풍성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도대체 왜? 라고 계속 질문을 던지게 되고, 아마 두번 볼 때 더 재미있는 작품이 될 것이다.

-이서진과 성동일을 캐스팅한 이유는.

=강우현의 경우 인간 사냥을 당했을 때 모두의 동정을 받을 수 있는, 앵커로서의 올곧고 강직한 이미지가 중요했다. 이서진 선배의 이미지가 적확했다. 또한 본인이 강한 이야기, 이미지 변신에 대한 갈증이 있었는데 그게 나에게도 필요했다. 시청자는 고동국 형사를 따라가며 사건을 이해하게 되는데, 성동일 선배는 드라마의 중심을 잡아주는 무게감을 갖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처럼 인간적이고 밝은 작품을 많이 했는데, <트랩>은 정반대에 있다. 예고편만 봐도 그렇게 어두운 성동일 선배의 모습은 처음이라고 느낄 거다. 동시에 드라마 중간중간의 위트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분이다.

-선과 악, 그 경계의 덫에 걸린 인간들의 사투와 그로 인해 인간 본성을 들여다 본다는 게 기획 의도다.

=<트랩>이 다루는 어떤 인간상이 있다. 거짓말을 밥 먹듯 하고, 피해의식이나 자기방어 기제, 나르시시즘도 강하고. 근데 그게 그들만의 생존 방식이다. 남상욱 작가는 ‘신인류’일지도 모른다는 표현을 했다. 그런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으니까, 조심하라는 얘기를 하고 싶었다. 물론 드라마니까 극적이고 잔인하게 표현된 부분이 있지만 이것을 순화해 현실에 대입해보면 핍진성이 생기는 지점이 있을 거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