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기자 지원서 접수를 마감했다. 지원자도 많았고 문의메일도 많았다. 아직 졸업이 멀어서 채용에 응시할 수 없지만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글을 잘 쓸 수 있는지 물어보는 분들도 많았다. 굳이 이 자리를 빌려 답을 드리자면 뭐랄까, 당연한 얘기지만 반복해서 쓰는 것만큼 좋은 글쓰기 훈련은 없다. 그런 습작의 효과에 대해 여러 글쓰기 책에서 접했던, 도움될 만한 내용을 쭉 열거해보겠다.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스티븐 킹은 “많이 읽고 많이 써야 한다”며 “이 두 가지를 슬쩍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지름길도 없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경우 1년에 70∼80권의 책을 읽고, 하루에 10페이지씩(200자 원고지 기준 10매) 쓴다고 했다. 그 정도면 3개월에 책 한권이 나오는 수준이라고도 덧붙였다. 물론 그는 비평이 아닌 소설 창작에 대해 얘기한 것이겠지만, 어떤 종류의 글에 적용하더라도 그 방법론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에 대해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유시민 작가는 ‘글쓰기 근육’이라는 표현을 썼다. “글쓰기 근육을 만들고 싶으면 일단 많이 써야 한다. 그게 기본이다. 언제 어디서든 글을 쓸 수 있다면 무조건 쓰는 게 답”이라며 그것이야말로 “진부한 처방이지만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그처럼 습작은 글쓰기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행동이다. <힘 있는 글쓰기>를 쓴 피터 엘보는 글쓰기에 있어 ‘탁월함은 어떻게 끌어내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엄청나게 많이 쓰지 않고서 탁월한 글을 써낼 가망은 거의 없다”고 단정지어 말했다. 또 <하버드 글쓰기 강의>를 쓴 바버라 베이그는 아예 책의 첫 번째 장 제목을 ‘습작’에 할애하면서, 운동선수와 음악가가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훈련을 통해 그 기술을 끊임없이 연마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인데 “당신은 왜 글쓰기 연습을 하지 않는가?”라고 반문했다. 습작을 하지 않는 것은 아무런 훈련이나 준비도 없이 실전 야구 경기에 나가고 콘서트에 임하는 선수, 음악가와 똑같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프리 라이팅’(free writing) 훈련을 하라며 ‘한번에 10분씩, 일주일에 3회를 몇주간 반복하라’는 구체적 방법까지 써놓았다. 글쓰기 근육도 그 흔한 ‘주 3회 운동’을 하여 단련시키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생각쓰기>의 윌리엄 진서는 “글쓰기가 직업인 사람들은 매일 쓰는 양을 정해놓고 엄격히 지켜야 한다”며 “글쓰기는 기능이지 예술이 아니”라고 말했다. “영감이 모자란다는 이유로 기능을 연마하는 일에서 손을 떼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며 빈털터리가 되고 말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가 제시하는 ‘글쓰기를 배우는 유일한 방법’이란 바로 “강제로 일정한 양을 정기적으로 쓰는 것”이다.
하지만 습작을 반복하기만 한다고 해서 원하는 만큼 좋은 글을 쓰게 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기자 등 직업적 글쓰기를 꿈꾸는 사람들은 분량과 마감에 대한 끊임없는 인지가 필요하다. 그래서 한편의 영화에 대해 글을 쓰되, 어딘가로부터 청탁을 받아 정해진 기간 안에 제출하는 느낌을 상기하면서, 200자 원고지 10매 분량, 그러니까 A4지 1장 정도의 글을 5시간 안에 쓰기로 결심하고 실행해 옮겨보는 것이다. 스스로 만족스러울 때까지 써나가는 것이 아니라, 썩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해둔 분량과 시간하에서 일단 한편의 글을 완성해보는 것이다. 시간에 쫓겨 억지로 마감했다면, 무엇이 부족한지 눈에 보일 것이다. 그걸 고치면 된다. 물론 그게 말처럼 쉽지 않아서 문제지만, 언젠가 만족스런 글을 쓰게 될 거라 기대하면서, 주제넘게 끄적여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