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아이콘
김혜리 2018-01-24

<코코>

뮤지션을 꿈꾸는 미구엘(앤서니 곤살레스)이 ‘죽은 자의 땅’(Land of the Dead)에서 마주치는 망자 중에는 화가 프리다 칼로(나탈리아 코르도바 버클리)가 있다. 공동감독 에이드리언 몰리나는 칼로의 캐스팅에 대해 “<코코>는 본인의 예술이 자신을 둘러싼 세상에 끼치는 영향을 배우는 소년의 여정이므로, 멕시코의 예술적 아이콘과 만나는 설정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코코>는 시각예술가인 프리다 칼로의 자산을 백분 활용한다. 자화상을 집요하게 탐구한 아티스트답게 <코코> 속 프리다 칼로는, 본인과 똑같이 생긴 무용수들과 퍼포먼스를 연출한다. 이때 무대는 역시 칼로의 그림에 단골로 등장했던 ‘과일’과 ‘눈물 흘리는 선인장’으로 꾸며져 있고, 칼로의 알레브리헤(동물정령)도 그의 캔버스에 자주 출현했던 동물 원숭이다.

01/09

헤이그의 자동차 박물관에서 윈스턴 처칠의 마크IV 리무진을 구경한 적이 있다. 차내에 빌트인된 뚝배기만 한 재떨이에 웃음이 터지고 말았다. 처칠은 스스로 아이콘이 된 정치인이다. 영국사와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도 처칠이라는 이름을 들으면 시가와 나비넥타이, 위스키와 동그란 안경 등을 쉽게 떠올린다. 앤서니 매카튼 작가와 조 라이트 감독의 영화 <다키스트 아워>는 전쟁을 재구성하거나 온전한 전기물을 시도하는 대신, 처칠의 추진력이 빛난 서양현대사 최악의 위기 28일간을 배경으로 한 정치인을 아이콘으로 만든 특수한 퍼스낼리티를 조명한다. 말 그대로 새벽 서재에서, 벙커의 전용화장실에서, 의사당에서 <다키스트 아워>의 조명은 톡톡히 한몫을 한다.

<다키스트 아워>를 ‘작가의 영화’라고 말한다면 그 속뜻은 두 가지일 수 있다. 하나는 지적인 대사의 치고받음이 영화적 재미를 주로 담당하는 영화라는 의미고, 나머지 하나는 중심인물 처칠을 언어의 귀재로 부각시켰다는 뜻이다. <다키스트 아워>의 제작진이 보는 처칠의 최고 병기는 말과 글이다. 소싯적부터 고른 성적의 우등생이 아니라 영어와 역사 과목에만 특출했던 처칠은 빼어난 저널리스트였고 하원의원 시절에는 박봉을 각종 고료와 인세로 벌충했다고 알려져 있다. 1953년 노벨문학상을 처칠에게 수여하며 한림원이 밝힌 이유에는 저술뿐 아니라 전쟁 중 그가 한 연설의 문학적 가치가 포함돼 있었다. 영화로 돌아가면 당시 영국 왕 조지 6세를 포함한 반대파들은 대화 끝에 늘 ‘지는 기분’을 느껴서 처칠을 불편해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음에 나올 말이 호응일지 면박일지 예측 불가하기에 부담스러운 것이다. 게리 올드먼의 대사 표현은, 의문문인가 싶으면 평서문이고 긴 반박이 나오겠지 싶으면 단어 하나로 일축하며 대화의 주도권을 잡는 처칠의 능력을 유감없이 드러낸다. 영화 속 처칠은 실내에서도 밖에서도 항상 남보다 앞서 코뿔소처럼 쿵쿵 걸어나간다. 프랑스로 건너가 나치 대응전략을 회의하는 신에서는 본인의 프랑스어가 유창하지 않음에도 코털만큼도 개의치 않고 자리에 모인 프랑스 정치인들에게 매개 없이 직접 의사를 전달하려고 한다. 말의 효과는 단어에 담긴 의미가 전부가 아니라 직접 전달되는 어투와 표정에 크게 좌우됨을 아는 사람의 태도다. 처칠의 카리스마는 힘의 과시에서만 나오지 않는다. <다키스트 아워>는 처칠의 예리한 위트와 유머를 강조한다. “낮술을 어찌 그리 잘 마십니까?”라는 희미한 책망을 담은 조지 6세의 질문에 처칠은 “연습이죠”(Practice)라고 단답하며 한잔 더 따른다. 전시내각 회의에서 독일과 협상하자고 주장하는 체임벌린과 핼리팩스를 상대하는 처칠은 논리와 명분도 내세우지만 갑자기 일갈해서 좌중을 입 다물게 한다. “내가 당신 말 자르는 중에 내 말 자르지 마시오!”(Would you stop interrupting me while I’m interrupting you?) 웃음이 나는 동시에 주눅이 드는 반대파의 기분을 짐작하고도 남는다. 처칠을 싫어하는 인물의 대사는 험담이지만 진실의 일단을 담고 있다. “처칠은 제 목소리에 취한 배우야.” 산도 움직일 수 있는 수사학의 괴력을 파악하고 구사하는 정치인은 참으로 유능하고도 위험한 존재다.

01/10

<어톤먼트>의 스턴트에 가까운 롱테이크로 회자됐던 됭케르크로 다시 돌아온 <다키스트 아워>의 조 라이트 감독은, 영화를 지배하는 수많은 말들을 스펙터클로 만들고자 노력한다. 인물들이 글을 읽고 통화하고 논쟁하는 도중에도 카메라는 쉬지 않고 움직인다. 예컨대 ㅁ자 형의 의사당 내부를 삼삼오오 움직이는 의원들을 번갈아 따라가며 처칠의 평판을 스케치하는 신이 예다. 전시 내각 사령부, 처칠 자택, 참호를 오가는 화면은 ‘암흑의 시간’을 통과하는 터널 같은 이미지로 가득하다.

그러나 <다키스트 아워>에서 결정적인 비주얼은, 게리 올드먼의 분장이다. 이 점은 두상과 이목구비의 비율이 윈스턴 처칠과 판이한 게리 올드먼의 캐스팅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예상된 바다. 일단 60대에 접어든 배우에게는 급격한 체중 증량과 감량이 치명적일 수 있으니 선택지가 아니다. 처칠의 두상은 둥글지만 올드먼은 갸름하다. 무엇보다 처칠은 평균보다 미간이 넓고 올드먼은 보통보다 좁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그린치> 등의 특수분장을 맡았다가 현재 영화계를 떠난 쓰지 가즈히로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올드먼이 출연 조건으로 그를 데려와야 한다고 요청해 복귀했다. 쓰지 가즈히로와 조 라이트 감독의 목표는 올드먼이 처칠과 무조건 닮아 보이는 것이 아니라 클로즈업숏에서도 어색하지 않되 특수분장이 눈을 찔끔한다거나 하는 올드먼의 미세한 연기를 덮어버리지 않는 최적의 균형점을 찾아내는 것이었다고 한다(노년의 배우는 젊은 배우보다 특수분장의 밀착도도 떨어진다고 한다). 하긴 닮음에만 집착한 특수분장은 배우를 폐소공포증에 빠뜨릴 수도 있을 것이다. <다키스트 아워>의 특수분장과 관련해 내게 인상깊었던 이야기는 두 가지다.

하나는 현재 조각과 순수미술로 활동분야를 바꾼 메이크업 아티스트 쓰지 가즈히로가 애초에 인간의 얼굴에 관심을 갖게 된 사연이다. 일본 교토 출신인 그는 일본인이 지닌 외면과 내면의 간극에 흥미를 느꼈고 상대의 말을 듣지 않으면서 얼굴로 생각을 읽는 연습을 하다가 생김새 외에 주름이나 표정이 표현하는 개인의 역사에 매료됐다고 한다. 둘째, 쓰지 가즈히로에 따르면 올드먼은 불평하는 일 따위 없이 그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협조했다고 한다. 직접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지정하고 섭외한 게리 올드먼의 일화는 흥미롭다. 훌륭한 영화배우의 능력에는, 연기력뿐만 아니라 본인의 연기를 최고로 만들 수 있는 스탭이 누구인지 파악하고 더 좋은 결과를 위해 어떻게 협업해야 하는지 아는 지혜가 포함돼 있음을 실증하기 때문이다.

<다운사이징>

좋아요

축소술

<다운사이징>은 자본주의사회의 성장제일주의가 불가피하게 맞닥뜨리는 절벽을 뛰어넘는 묘안으로, 고갈과 오염의 원흉인 인간의 크기를 줄인다는 아이디어를 낸다. 알렉산더 페인 감독은 ‘다운사이징’ 시술의 절차와, 관련된 사회적 논란을 상상하는 대목에서 제일 뛰어나다. 주인공 폴(맷 데이먼) 부부가 소인 주거지 레져랜드의 ‘모델하우스’를 방문하는 장면은 인간축소술의 핵심 소구점이 구매력의 비약적 상승임을 예리하게 짚는다. 축소에 앞선 귀중품 택배 서비스, 의료사고 가능성의 인지사실 확인 과정은 세심함이 부르는 재미의 예다. 시각적 상상력의 하이라이트는 현실 불가능하지만 정색하고 그럴싸한 다운사이징 시술 과정이다. 제모와 관장, 치과 보형물을 제거하고 세포 축소를 시행하는 공간은, 폴이 다니던 고기 포장 공장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리하여 작아진 인간들은 묘하게도 신생아와 비슷한 모습으로 깨어난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