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1987> 김태리 - 감정과 정서의 에너지
김성훈 사진 오계옥 2017-12-26

김태리는 <1987> 시나리오를 받기 전부터 촛불집회에 열심히 참여하고 있었다. 6월 민주항쟁 이후에 태어난 세대이지만, <1987>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당시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도 그래서다. 그녀가 연기한 연희는 삼촌인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의 부탁을 받고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을 수배 중인 재야 인사에게 몰래 알리는 평범한 대학생이다. 아픈 과거 때문에 데모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않다가 어떤 일을 겪으면서 변하기 시작한다. 1987년 6월 거리로 나선 많은 시민들처럼.

-<1987> 시나리오를 처음 읽었을 때 어땠나.

=책을 다 읽은 뒤 덮고 ‘좋다’고 생각했다. 인물들이 제 역할을 한 뒤 사라지는 ‘쿨함’이 너무 마음에 들었다. 주인공 한두명이 감정을 지지부진하게 끌고 가지 않고 제 할 일을 하고 싹 사라지는데도, 감정과 정서의 에너지는 점점 커지는 게 매력적이었다.

-6월 민주항쟁에 대해 알고 있었나.

=겉핥기로 알고 있었다. 이한열 열사의 죽음에 대해서만 조금 알고 있었고, 박종철 열사는 몰랐다. 시나리오를 받고 다큐멘터리며 책이며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공부하기 시작했다.

-공부를 해보니 어떻던가.

=얼토당토않은 내용이었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대사가 어이없었다. 실제로 그렇게 기사가 났다니 블랙코미디가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나리오를 받았던 당시만 해도 촛불집회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을 뿐 정권이 바뀌지 않았는데. 배우로서 이 작품에 참여하는 게 부담스럽지 않았나.

=정치적 상황이 이러하니 (정권이 불편해할 만한) 영화나 캐릭터 하면 안 돼, 같은 생각을 아예 하지 않는다. 영화 홍보 기간이 시작돼 이런 질문이 들어오니 ‘아, 이런 영화가 배우에게 부담이 될 수 있는 거구나’라고 느끼게 됐다. 아직은 신인배우라 정치적 부담감에 대해서는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연희는 어떻게 다가왔나.

=처음에는 연희 개인의 서사에 집중하지 못하고 이 시나리오에 하나밖에 없는 여성 캐릭터가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에 신경 쓰는 바람에 감독님을 계속 괴롭혔다. 영화 초반엔 대사와 장면 하나하나에 집중하고 스스로 검열하면서 잘못 접근했다. 그럼에도 감독님께서 내 접근을 잘 이해해주셨고 나 역시 연희를 주체적인 여성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스포일러 때문에 자세하게 설명할 수 없지만 전사를 보여줌으로써 아무 생각 없이 징징거리는 여자로 보이지 않도록 신경 썼다.

-실존 인물을 토대로 재구성한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연희는 허구의 인물인데.

=(실존 인물을) 탐구할 만한 지점이 없었던 까닭에 자유로울 수 있었다. 스스로 대중이나 일반 국민들을 대표한다고 생각하며 연기했다.

-현장에서 연희 촬영 분량은 얼마나 됐나.

=20회차 정도. 영화를 찍으면서 연희에게 이입하기보다 반성하게 되는 순간이 많았다. 당시 민주화 투쟁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찾아서 보았는데 그때 그런 일들이 있었는지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면서 반성을 많이 했다. 특히 2001년 대우자동차 정리해고 투쟁을 그린 영상을 보면서 눈물을 많이 흘렸다.

-그런 영상들을 보니 어떻던가.

=답답했다. 매주 촛불집회에 나갔을 때 거리에 나온 사람들을 보며 슬프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 나와서 변화를 외치고 있는데 왜 귀를 닫고 소통하지 않는지, 왜 사회는 이렇게밖에 굴러가지 않는지, 같은 생각을 했다. 이번 영화를 작업하면서, 촛불집회에 나가면서, 사회는 대중이 모여 바꿀 때 가장 올바른 길로 나아간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다.

-차기작은 뭔가.

=<리틀 포레스트>(감독 임순례)에서 주인공 혜원을 맡았다. 고단한 서울 생활에 지친 혜원이 엄마의 요리와 자연이 그리워 고향에 내려왔다 사나흘 뒤 올라가려던 계획이 사나흘이 두 계절, 세 계절, 1년이 된다. 시골에서 요리도 하고 친구도 만나는 이야기다. 현재 이병헌 선배와 함께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을 촬영하고 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