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문 프로듀서는 지난 글(<씨네21> 1102호 ‘포커스’)에서 ‘영화진흥사업 지원체계 개선(안)’(이하 개선안)과 ‘조직개편안’을 근거로 의혹을 제시하며 영화계가 왜 이 개선안과 조직개편안에 항의하지 않고 침묵하는지를 비판했다. 또한 개선안의 핵심 사안은 영화단체로의 위탁사업임을 강조했고 한국독립영화협회와 몇몇 영화단체를 거론하며 개선안과 영화단체들간의 연관성에 대해 “누구에 의한 ‘기안’이며 어떻게 ‘논의’된 개선안인가?”라고 물으며 설명을 요구했다.
그에 앞서 그는 “‘한국 영화산업 상생협력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 구성, 영화계의 미래를 위한 고민인가 소수의 이익을 위한 행위인가”(<씨네21> 1101호 ‘포커스’)에서도 한국독립영화협회를 언급하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3월 23일 진행된 라운드 테이블 구성을 위한 자리에 참석한 한국독립영화협회와 영화인들은 오히려 영화계 전반의 동의를 전제로 한 테이블 구성을 요구했으며 현재까지 ‘한국 영화산업 상생협력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은 구성되지 않았다.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고 의혹만을 제기하는 데에 그에 의해 언급 된 단체의 일원으로서 유감을 표한다.
그의 문제제기와 요구에 되묻는다. 의혹의 근거로 제시한 ‘개선안’과 ‘조직개편안’이 실제 존재한다는 것인가? 그가 의혹의 근거로 제시한 ‘안’들의 존재가 외부에 공개된 것은 지난 3월17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노조가 발표한 성명을 통해서다. 노조는 성명에서 “일부 영화계의 요구를 반영한 중점추진사업 선정 추진 등 매우 중차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그에 대해 블랙리스트 대응 영화인행동(준)은 “영화진흥사업 지원체계 개선안이라는 듣지도 보지도 못한 문건”에 대한 존재 여부와 “구체적으로 어떤 영진위 구성원들이 영화인행동의 누구와 특정 사업기획안을 의논했는지 정확하게 공개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선안과 조직개편안은 영화인들에게 공개된 적이 없다. 개선안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어떻게 문건을 입수하여 의혹을 제기하는 것인가? 영진위가 영화계의 요구에도 공개를 거부하면서 ‘중차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문건을 개인에게는 유출했다는 것인가?
영진위 홈페이지를 통해 그가 영진위 ‘영화문화다양성소위원회’ 위원임을 확인했다. 동명이인이 아니라면 말이다. 만약 소위원회를 통해 개선안을 확인했고 그 내용이 심각하여 영화계를 걱정하는 것이라면 소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전영문 위원부터 문건을 공개하길 바란다. 제한된 경로로 입수한 정보를 통해 의혹만을 제시할 것이 아니라 입수한 경위와 출처를 밝히고 영화계 전체에 공론화하길 제안한다. 영진위 또한 영화계의 공개 요구는 묵살하며 개인에게 중요 정보를 유출한 이유를 밝혀야 할 것이다. 명확한 절차와 해명이 없을 경우 이는 모두가 경계하고 있는 ‘밀실행정’ 중 하나이다. 더불어 문건이 공개될 경우 그 내용의 사실관계 또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그의 지적처럼 김세훈 영진위 위원장의 결단을 촉구한다. 또한 영화정책의 근간을 흔들면서 사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이들이 있다면 당사자들은 각성해야 할 것이다. 영화계 적폐를 청산하고 기관 운영의 민주성과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영화인들의 요구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블랙리스트 단체들을 이익단체로 둔갑시키며 근거 없는 의혹을 확대 재생산시키는 행태는 경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