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갑을 눈앞에 둔 여성이 칠순을 넘긴 남성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구술했다. <아저씨 도감>에서 ‘아저씨’로 규정되는 나이가 여기서는 ‘할배’가 된다는 생각해볼만한 차이점이 있기도 하거니와, <할배의 탄생>의 부제는 무려 ‘어르신과 꼰대 사이, 가난한 남성성의 시원을 찾아서’다.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을 거쳤고, 결혼을 하기도 하고 못하기도 했다. 그 사이의 무수한 한국의 가난한 삶의 결을 읽을 수 있다. 가난하고 보수적인 남성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그나마 남성인 사람들과 여성인 사람들간의 차이도, 그들이 의도했건 그렇지 않건 시종일관 눈에 띄는데 그것은 최현숙씨가 대화의 상대로서 기능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군대, 여자, 돈. 40년대에 태어난 남자에게만 이 세 가지가 중요했을 것인가. 그들은 과거의 사람이 아니라 현재에 속해 있다. 가난했지만 내 인생은 나쁘지만은 않았다는 생각, 강한 사람에게 붙어야 한다는 논리, 분열은 안 되니까 진보는 불신한다는 결론같은 것들은 이들이 생존을 통해 다져온 노하우였다고 생각되지만, 이것이 70대에만, 노년에만 해당되는 현상일까.
[도서] 어르신과 꼰대 사이, 가난한 남성성의 시원을 찾아서
글
이다혜
2016-12-12
<할배의 탄생> 최현숙 지음 / 이매진 펴냄
- 에서 책구매하기
-
ㆍ어르신과 꼰대 사이, 가난한 남성성의 시원을 찾아서 <할배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