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영화人
[영화人] 신도형 영화제 피칭 디렉터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프로젝트마켓 피칭 행사에서 만난 참가자들은 하나같이 “피칭 준비 과정이 알찼다”며 신도형 피칭 디렉터의 지도에 만족해했다. 영화제 피칭은 창작자들이 제작·투자자들 앞에서 짧은 시간 안에 자신의 작품을 매력적으로 소개해 비즈니스 미팅으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자리다. 다년간의 피칭 경험이 있는 신도형 피칭 디렉터의 꼼꼼한 지도가 참가자들에게 꼭 필요했다. “부산국제영화제 마켓의 신화창조 프로젝트 피칭, 북투필름, E-IP(지적재산권) 피칭 참가자들에게 사전 피칭 강의와 멘토링을 진행했다. 2013년 CJ 프로젝트 S의 피칭 강의가 시작이었다. 그 행사를 본 전주국제영화제쪽에서 연락을 줬다. 이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등의 피칭을 해오고 있다.” 일이 몰리면서 어느새 그는 “영화제 피칭 시기를 기준으로 휴가 등 1년 계획표를 짠다”고 할 정도다.

그는 “일대일 맞춤형” 피칭 연습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작품별, 참가자의 성향별 특징을 파악하고 맞춤식 교육을 한다. 예컨대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피칭에 참석했던 <해빙>의 이수연 감독은 말씀을 굉장히 잘하신다. 이럴 땐 키워드 중심의 PPT 화면 구성을 제안한다. 발표력이 부족한 참가자는 화려한 영상을 내세우거나 아예 무대에 등장하지 않고 목소리로만 피칭한다.” 그는 효율적으로 스토리텔링을 하는 법을 중요시한다. “이야기의 소재나 컨셉은 새롭되 서사 전개는 기성 작품의 그것을 따를 필요가 있다. 생뚱맞은 전개는 역효과다. 신인 작가나 감독이 놓치기 쉬운 부분이다.” 광고계에서 컨설팅 업무를 해온 그는 성공적인 피칭과 프레젠테이션의 여러 사례를 경험해왔다. 그에게 영화제 피칭 교육은 영화라는 전혀 다른 영역으로 발을 디뎌보는 계기였다. “신진 작가들의 새로운 이야기를 가장 먼저 만나는 재미가 있다. ‘이런 작품이 뽑히는구나’ 싶으니까 내가 직접 작품을 써보게 됐다. <무현, 두 도시 이야기>의 제작위원인 이지영 프로듀서와 김대건 신인 작가가 함께 쓴 <대타>로 지난해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한 대한민국스토리공모대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대타>의 e-book과 피칭 전문 서적을 내보자는 제안을 잇따라 받은 상태다.

신도형 피칭 디렉터는 피칭이 갖는 고유의 역할을 강조한다. “중요한 건 콘텐츠다. 화려한 피칭을 해도 스토리가 매력적이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없다. 청중이 피칭하는 작품이 뭔지 일단 들어보게 하는 것, 창작자에게 ‘애프터 신청’을 하고 싶게끔 만드는 것까지가 피칭이 해야 할 일이다.”

주사위

신도형 피칭 디렉터는 강의 때 일명 ‘부양 주사위론’을 예로 든다. 주사위를 공중에 던지면 어느 위치에서 보느냐에 따라 보이는 면의 숫자가 다르다. 피칭도 마찬가지다. “하나의 이야기를 피칭으로 전달할 때 꼭 주인공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하려 하지 마라. 로맨틱 코미디면 남자주인공과 여자주인공 시점으로 각각 스토리를 생각해보는 거다.” 그의 이런 피칭 수업을 들은 학생이 감사의 뜻으로 선물해준 주사위들이다.

출강 및 멘토링

부산국제영화제 신화창조, 북투필름, 지적재산권 콘텐츠, 전주국제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한국콘텐츠진흥원 스토리마켓, 서울영상위원회 멀티마켓, CJ 프로젝트 S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