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익 감독의 <동주>는 윤동주(강하늘)와 그의 사촌이자 오랜 친구인 송몽규(박정민)에 관한 영화다. 혹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의 아픔을 각자 다른 방식으로 살아낸 예술가와 활동가에 관한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는 두 사람의 상반된 기질을 부각시키는 데 집중한다. 송몽규는 일찍이 등단하지만 이후 독립운동에 전념하며 학생들을 조직하는 데 앞장서는 반면, 말수가 적고 섬세한 심성을 지닌 윤동주는 내내 홀로 시를 쓴다. 함께 연희전문학교를 다닐 때에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같이 옥살이를 할 때에도 독립을 염원하고 일제의 탄압에 저항하는 마음은 윤동주와 송몽규 모두 마찬가지인 것으로 그려진다. 다만 송몽규와 달리 윤동주에게 문학은 어디에서도 저버릴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끝내 <동주>는 일제강점기에도 달리 글을 쓸 수밖에 없었던 어느 시인의 부끄러움에 관한 영화다. 내레이션으로 삽입된 윤동주의 시들은 모두 그 부끄러움에 관해 고백하고 있다.
흑백으로 제작된 <동주>는 이준익 감독의 전작보다는 각본을 맡은 신연식 감독의 전작을 떠올리게 한다. 영화에서 배어 나오는 서정적인 톤과 무드, 단선적이지 않은 서사 구조, 대사와 내레이션의 문학적인 활용 등이 그렇다. 더불어 모그의 감각적인 음악이 영화 전반에 애상적인 정서를 불어넣는다. 제목과 달리 전반부까지는 송몽규의 존재가 돋보이는데, 이는 송몽규를 연기한 박정민의 덕이 크다. 하지만 그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전반부의 전개는 다소 부산스럽고 불균질하다. 후반부 윤동주의 이야기로 무게중심이 옮겨가면서 영화 또한 활력을 찾는다. 내레이션으로 시를 활용하는 방식도 뒤로 갈수록 입체적으로 변화한다. 인상적인 대목 중 하나는 송몽규가 교토 일대 조선인 유학생을 이끌며 독립운동에 투신할 때, 비밀리에 시집 출간 준비를 하는 윤동주의 부채감과 죄책감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장면이다. 이때 내레이션으로 읊어지는 시 <공상>의 “나는 말없이 이 탑을 쌓고 있다. 명예와 허영의 천공에다 무너질 줄 모르고 한층 두층 높이 쌓는다”라는 구절과 영화에서 벌어지는 사건, 화면의 수직 구도, 카메라의 아슬아슬한 앵글이 겹쳐지며 활자로만 접해오던 시구가 생생하게 극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