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flash on
[flash on] 사랑의 힘으로 해내는 작지만 큰 일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진모영 감독

아픈 데 ‘호’ 해주기, 음식 떠먹여주기, 직접 만든 꽃다발 선물하기. 이 애정행각은 진모영 감독의 다큐멘터리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에서 결혼 76년차 노부부의 주된 일상이다. 우연히 끼어든 죽음도 그 일상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노부부의 일상을 통해 위대한 사랑을 보여주고 싶었다”는 진모영 감독은 이 영화가 단순한 노인영화는 아니라고 강조한다. 소수자들을 위한 방송다큐멘터리를 찍어온 그는 고 이성규 감독의 극영화 <시바, 인생을 던져>(2013)의 프로듀서로 영화계에 입문했다. 그의 장편 연출 데뷔작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올해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관객상 수상작이다.

-영화를 어떻게 구상하게 됐나.

=독특한 인물을 찾던 중에 KBS <인간극장> ‘백발의 연인’편이 눈에 들어왔다. 방송을 보다보니 두분의 사연이 정말 굉장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에게 부부로 산다는 게 무엇인지에 대한 큰 해답을 던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 거다. 그분들의 이야기는 결코 여기서 멈출 이야기가 아니라고 생각해 영화로 만들게 됐다.

-처음의 기획과 달라진 점이 있는지.

=원래 계획은 1년 정도 부부의 집에 드나들면서 꾸준히 일상을 찍는 거였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 찍을 생각은 하지도 않았다. 이분들이 당장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 이미 할 이야기가 충분하다고 본 거다. 그렇게 시작했는데 할아버지가 갑자기 아프시면서 내가 생각이 많아졌다. 상황을 차갑게 응시해볼까도 고민했는데 이분들의 사랑은 머리로 하는 게 아니라 몸으로 표현하는 거라서 그런 방식과는 맞지 않았다. 잘못하면 병수발하는 것만 찍을 수 있겠더라. 우리가 죽음을 다루려고 이분들에게 간 건 아니지 않나. 다시 처음 의도대로 오로지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자고 생각했다.

-첫 장면부터 조병만 할아버지의 무덤을 등장시킨 이유는 뭔가.

=기승전결로 보면 할아버지의 죽음이 굉장한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 그걸 마지막에 뻥 터뜨리고 싶진 않았다. 죽음이라는 결말을 먼저 아는 대신에 이분들의 사랑에 집중해 달라는 뜻에서 무덤 신을 앞에 배치해놓은 거다.

-죽음을 신파의 소재로 소비하지 않은 것이 꽤 인상적이다.

=눈물이 떨어질 듯 말 듯할 때 영화를 끝내야 한다는 게 편집 의도였다. 관객을 펑펑 울릴 수 있는 촬영분은 넘쳤지만 할아버지의 죽음과 관련한 장면은 단 두컷만 썼다. 할아버지가 마지막까지 가쁜 호흡을 내쉬는 장면, 할머니가 그 옆에서 통곡하는 장면, 가족들이 장례식 때 오열하는 장면 등은 다 걷어냈다. 그런 장면들은 사랑을 표현하는 데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강을 찍은 장면이 특히 많던데 혹시 영화 제목과 관련이 있나.

=다 큰 자식들이 모두 그 강을 건너 곁을 떠났고 부부만 남게 됐다. 둘이 늘 강가에 앉아서 자식들이 오고가는 것을 지켜보며 기대와 아쉬움을 품었던 거다. 어느 날은 문득 ‘언젠가 할아버지도 그 강을 건너 할머니를 떠나겠지’라는 생각이 들더라. 그때쯤에는 할머니 혼자 주인공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할머니가 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제목을 지었다.

-강계열 할머니의 근황은 어떤지.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거의 1년이 지났는데 할머니는 아직 그 집에 계신다. 얼마 후면 곧 첫 제삿날이다.

-결국 이 영화가 보여주는 사랑이란.

=시인 박노해가 ‘우리는 위대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위대한 사랑으로 작은 일을 하는 것, 작지만 끝까지 꾸준히 밀어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내가 아는 가장 위대한 삶의 길이다’라는 말을 했다. 이 부부에게 딱 어울리는 글귀다. 이분들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해줄 수 있는 최선의 일로서 이별을 준비하고 죽음을 정리하고 마지막을 완성해줬다. 세상을 떠날 때까지 누군가를 위해 그처럼 작은 일들을 하나하나 해나가는 것. 그게 진짜 위대한 사랑 같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