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선체 잔류 가능성’이 대통령에게 오전에 보고됐다는 사실이 국정감사에서 새로 나왔다. 오후 5시 넘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모습을 드러내 “학생들이 구명조끼를 입었다는데 발견하기 힘이 드느냐”는 ‘당황스러운 질문’을 하기 전에, 설사 감기약 먹고 잠이 들거나 스파를 하거나 마사지를 받거나 하다못해 보톡스 시술 중이었다 해도 수습하고 달려나올 시간이 있었다. 어떻게 실시간 방송을 지켜본 국민들보다 대통령이 ‘정보’에 뒤처질 수 있었을까. 세월호 참사에는 여러 비극이 극단적으로 얽혀 있지만 대통령의 이런 미스터리한 처신도 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걸 제대로 밝혀내는 것은 정치 공세가 아니라 예고 없는 참사와 재앙에 대한 국가적 안전(구조)대책을 세우는 데 필수적인 일이다. 이 정부 들어 통치구조가 ‘윗분 심기’만 살피는 쪽으로 재편되고 있어서 더 그렇다.
대통령의 ‘7시간 행불’에 대한 궁금증과 걱정은 이렇듯 여전한데, 이를 들먹이면 사찰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대체 무슨 비밀이 있기에 속시원히 말을 해주지도 않고 말도 못하게 할까. 어려운 시험 통과한 국정원 공무원들이 댓글이나 달고 있었던 것도 민망한데 못지않게 어려운 시험 통과한 검찰 공무원들이 사이버상에서 특정 단어나 털고 앉아 있다니. 이런 분위기니 행정부처 공무원이 산하기관 국감자료를 사전검열하려 드는 일도 벌어지는 것이다.
전단지 살포를 중지해달라는 북한쪽의 요청에 우리쪽에서는 “체제 특성상 (정부가) 제재할 수 없다”고 답했다. 정의당의 퍼포먼스처럼 화창하고 바람 부는 날 아파트 베란다에서 ‘7시간 궁금증’을 삐라로 뿌려볼까? ‘체제 특성상’ 안 잡아가겠지? 사이버상에서는 털려도 대로에서는 무사하니까. 씨네리, 모쪼록 이번 칼럼은 온라인 서비스 말고 풍선 서비스 부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