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국내뉴스] 정부, 영화계에 등돌리나
김성훈 2014-07-25

영화발전기금 존폐 기로… 정부와 영화계 입장 차이 뚜렷

사진제공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지난 8년 동안 한국 영화산업의 종잣돈 구실을 해온 영화발전기금이 존폐 기로에 놓였다. 7월20일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한국영화제작가협회가 함께 주최한 나프포럼 ‘한국 영화산업 정책 개선을 위한 포럼-영화발전기금을 중심으로’에서 영화인들은 “영화발전기금 연장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영화발전기금은 스크린쿼터가 146일에서 73일로 축소되면서 마련됐다. 정부가 2006년 1월26일 스크린쿼터 축소를 공식 발표한 다음날 내놓은 한국영화 발전 대책 중 하나가 영화발전기금 조성이었다. 2007년 징수가 시작된 영화발전기금은 올해 말 만료를 앞두고 있다. 2021년까지 기금 징수 연장을 내용으로 하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해 4월 국회에 제출됐지만 아직 계류 중이다.

토론회에 참석한 영화인들은 “기금 연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지만, 기금 운용 방식에 대해서는 조금씩 의견이 달랐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배장수 이사는 “영화발전기금이 투입되는 지원 사업의 방향은 창작 역량과 환경을 강화하고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아시아영화학교, 부산국제영상콘텐츠밸리 조성 같은 사업은 정부나 지방 정부 예산으로 하는 게 타당한 사업이니 영화발전기금을 투입하는 게 적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영화진흥위원회의 새 사옥을 마련하는 문제도 재고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영화감독조합 부대표인 정윤철 감독은 “영화발전기금이 처음 징수됐던 2007년에 비해 지금은 영화계가 절박함이 부족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의 입장은 영화계의 입장과 온도차를 보였다. 토론회에 참석한 문화체육관광부 이순일 사무관은 “정부의 국정 철학과 관련해 모태펀드의 문화 계정 중 영화 투자 비율을 기존의 30%에서 20%로 축소했고, 국가의 영화계 지원 축소는 이미 진행되고 있다”면서 “정부 예산 지원은 정부의 국정 철학과 관련한 문제라 문화체육관광부의 노력만으로는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