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trans x cross
[trans x cross] 에너지는 아껴 써선 안 된다
정지혜 사진 최성열 2014-03-24

뮤지컬 배우 차지연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데 이번이 벌써 세 번째면 인연도 보통 인연은 아니다. 뮤지컬 배우 차지연과 뮤지컬 <서편제>의 만남을 두고 하는 말이다. 차지연은 2010년 <서편제>가 처음 뮤지컬로 만들어졌을 때부터 눈먼 소리꾼 송화를 연기했다. 세 번째 송화를 대하는 그녀의 태도는 각별하고 남달라 보인다. 전과 달리 그녀는 과감한 캐릭터 해석을 시도했고 그 결과 이번 송화는 확실히 강해졌다고 한다. <아이다>의 아이다, <카르멘>의 카르멘처럼 기운 세고 거친 운명의 여성들을 꾸준히 맡아왔던 그녀인지라 송화의 이런 변화가 자연스럽게 느껴질 정도다. 데뷔 8년차 배우에게서 좀처럼 나올 수 없는 공력이자 배우 차지연만의 에너지다.

-어떻게 <서편제>를 세번씩이나 하게 된 건가. =힘들지 않은 작품이 어디 있겠냐마는 <서편제>는 정말이지 엄청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작품이다. 어린 송화부터 60, 70대 소리꾼 송화까지 한 사람의 일평생을 두세 시간 안에 담아내야 한다. 더군다나 판소리를 배워본 적도 없는 내가 극을 이끌어가자니 하면서도 여간 힘이 든 게 아니었다. 골수까지 다 빠져나가는 느낌이랄까. 그런데 <서편제>에는 이상한 기운이 있는 것 같다. 피가 당긴다고 해야 하나? 내가 먼저 또 하고 싶어서 다시 찾아보게 되더라. 무대 위에서 스스로가 치유받는 느낌이 상당하다.

-관객에게 뭔가 달라진 송화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도 있었겠다. =2010년 <서편제> 때는 사람들이 돌을 던지면 어쩌나 걱정이 앞서 그저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2012년 무대에서는 조금 안정이 된 느낌이었고. 올해는 확실히 달라진 걸 스스로도 느낀다. 아마도 지난해 뮤지컬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명성황후 역을 맡았던 영향이 큰 것 같다. 아무것에도 기대지 않고 자신만의 힘으로 무대에 뿌리내리는 법을 그때 많이 배웠다. 그러면서 밖으로 보여지는 연기가 아니라 안으로 삼키는 연기를 하고 싶다는 욕심이 커졌다. 그래서 송화의 캐릭터 해석을 완전히 달리했다. 예전엔 장면마다 눈물이 많았던, 여린 아이 같은 송화였는데 이번엔 묵묵하고 꿋꿋한, 의연한 송화를 담아내고 싶었다. 지금의 내 송화는 강단 있고 강해졌다.

-새로운 송화를 관객이 어떻게 받아들일 것 같나. =이지나 연출가님이 “송화에 대한 네 해석이 좋긴한데 아무래도 캐릭터가 너무 많이 바뀌어서 관객의 호불호가 갈릴 것 같다”라고 말씀하시더라. 송화의 인간적인 면모보다는 소리꾼, 예인(藝人)으로서의 송화를 더 많이 보여주려고 한다. 배우로서 이런 변화도 시도할 수 있구나 싶어 스스로는 나쁘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공연이 시작되고 관객 반응을 보면 또 고민이 생길 것 같다. 어쩌면 이번에야말로 돌 맞을지도 모르겠다. (웃음)

-원래 소리 전공자도 아닌데 뮤지컬 배우가 판소리를 한다는 건 상당한 용기다. =북은 쳤다. 집안 대대로 북을 쳐왔다. 그러면서 판소리는 늘 들어왔다. 하지만 소리 전공자가 아니다 보니 시작할 때 정말 걱정이 많았다. 예쁜 옷을 입고 화려한 역할을 하는 것도 좋지만 민낯으로 소리꾼의 삶에 집중하는 것도 엄청난 공부라고 생각했다. 많은 뮤지컬 여배우들이 과감한 도전을 했으면 좋겠다. 특히 <서편제> 같은 창작 뮤지컬에 말이다. 언제까지 유럽, 미국에서 수입된 라이선스 작품만 할 순 없지 않겠나. 물론 그런 작품이 화려하고 보기에는 좋지만 동선, 춤동작, 팔동작 하나까지도 원작과 똑같이 해야 하는 데서 오는 답답함이 있다. 창작 뮤지컬은 배우도 함께 극을 만들어가다 보니 자기 안에서 좀더 많은 걸 끄집어낼 수 있다.

-서울예대 연극과에 진학했는데, 연극이 아닌 뮤지컬 무대에 먼저 섰다. =학교 행사 때마다 내가 노래를 하고 있더라. 잘한다는 소리도 좀 들었다. 그러다 집안이 어려워져 휴학했고 결국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고 은행에 비정규직으로 취업했다. 화분에 물 주고 발급된 카드를 고객에게 보내주는 단순 작업이었다. 그때 대학 후배가 전화를 해서 뮤지컬 <라이온 킹>을 해보지 않겠냐는 거다. 학교를 짧게 다니다보니 연기의 ‘연’자도 몰랐는데도 대뜸 “얼마 주는데?”부터 물었다. 은행보다 많이 준다기에 바로 하겠다 했다.

-2006년 데뷔 뒤 길지 않은 시간 안에 주연 자리를 줄줄이 꿰찼다. 특히 아이다, 명성황후, 카르멘처럼 강하고 자기 색이 분명한 여성 캐릭터들을 도맡아왔는데. =내가 옥구슬 굴러가듯 맑고 고운 음색은 아니잖나. 뮤지컬 배우 가운데 나처럼 허스키한 목소리가 많지 않다보니 남다르게 들렸던 것 같다. 또 하나는 인간 차지연이 여성으로서나 나이로 보나 겪지 않아도 될 일들을 너무 많이 겪었다는 거다. 이렇게 힘들게 살아온 경험이 내가 맡은 역할과 맞닿는 면면들이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또 내일 공연이 없는 것처럼 오늘 공연에 모든 걸 쏟아붓는 스타일이기도 하다. ‘미련하다’, ‘롱런할 수 있도록 목소리 관리하고 에너지도 분배해가며 해라’, 하는 분들도 있다. 하지만 난 아껴서 오래하기보다는 짧더라도 오늘 후회 없이 무대를 끝내는 게 목표다. 그런 걸 관객이 봐주시는 것 같다.

-해보니까 뮤지컬만의 매력은 뭔가. =똑같은 분장, 대사, 배우가 하는데도 관객 호응, 상대배우의 리액션,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미묘하게 극이 달라진다. 그게 정말 신기하다. 한 공연을 여러 번 본 관객 중엔 그 작은 차이를 느끼는 분들이 있다. 큰 룰 속에서 작은 변화들이 생기는데 그걸 볼 때면 뮤지컬이 매력적으로 보인다. 어제 좀 부족했다 싶으면 다음날 조금 더 만회할 수 있는 것도 그렇다.

-뮤지컬, 연극뿐 아니라 <우리들의 일밤-나는 가수다> <불후의 명곡-전설을 노래하다>에 출연했고 싱글 앨범도 냈다. 영화에도 관심이 있을 것 같은데. =정말 하고 싶다. 6년 전부터 얘기했는데 한번도 연락이 안 오더라. (웃음) 이번에 영화 관계자들이 <씨네21> 보시고 비주얼보다는 지독하게 연기해야 하는 역할로 연락 한번 주시라. ‘노래 잘하는 배우보다는 연기 잘하는 배우’라는 말이 좋다. 연기로 인정 받고 싶다. 여전히 욕심 있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