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5학년 때인가 선생님이 장래희망을 적어내라고 하셨는데, 부모님이 떡볶이집을 하던 친구가 ‘회사원’이라고 적었다. 선생님은 “어머 얘, 시시하게 회사원이 뭐니” 하면서 우스워하셨다. 지금 생각하니 일찍 머리 굵은 그 친구가 철없던 젊은 선생보다 훨씬 더 세상 물정을 알았던 것 같다. 모두가 판사, 의사, 과학자, 대통령이 될 수도 없고 돼서도 안된다. 지금의 아이들에게 가장 현실적인 장래희망은 ‘정규직’이리라(사육사가 되고픈 딸아, 그렇다면 부디 정규직 사육사가 되렴).
1998년 DJ 집권 첫해, 사상 전향제도를 폐지하고 준법서약서로 대체하자는 논의가 있을 때 한 인권단체에서 연 토론회에서 작가 김훈이 했던 말이 기억난다. “인생은 그 자체로 축복일진대 나는 그 방법이 무엇이든 감옥에서 나오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는 내용이었다. 힘겹게 출발한 새 정권에서 빨갱이들 다 풀어준다는 공격을 피하고 양심수를 석방하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정책이었지만, 준법서약서도 양심과 사상을 옥죈다는 비판이 쏟아지던 자리였다. 객석에 있던 나는 살짝 ‘왜 저렇게 딴 이야기를 하시지? 더 멋진 말씀도 많을 텐데’ 아쉬워했던 것 같다. 꼬박꼬박 월급을 받고 무탈히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게 얼마나 큰 축복인지 깨달을 나이가 되어서야, 그 자리에서 그런 말을 한 작가의 고뇌와 용기가 이해된다. 나는 울산 현대차 최병승씨가 그만 내려왔으면 좋겠다. 이 혹한에 몸이 너무 상할까 염려되고, 그의 어깨에 너무 많은 짐을 지우는 것 같아 미안하다. 이 말을 이렇게 힘들게 꺼내는 것 외에 그를 도울 길을 모르겠다. 희망버스를 타고 가서 고개를 쳐들고 문자를 치거나 하트를 그리는 일조차 사치스러워 보인다.
현대차가 대법원의 불법파견 판결이 난 지 11개월이 지나서야 그를 ‘나홀로 정규직 발령’ 낸 것은 술수가 뻔히 보인다. 노사교섭은 중단되어 있고 7700명 사내하청 노동자 가운데 420명을 신규채용하겠다는 공고를 냈다. 더럽고 치사하다. 최씨는 이런 회사의 방침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고공 송전탑에 계속 머물겠다고 한다. 세상에서 가장 높고 추운 감옥이다. 불법파견에 따라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첫 사례를 만들어낸 것만으로도 소중한 일이다. 다음 투쟁은 다음 방식으로 하자. ‘양심수 최병승’씨가 너무 늦지 않게 ‘탈옥’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