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 왕이 된 남자>(이하 <광해>)는 추창민 감독의 첫 사극이다. 한명의 메인 캐릭터를 중심에 놓은 영화도 처음이다. 역사의 맥락과 왕이라는 지존의 캐릭터를 그는 어떻게 생각했을까? 영화와 드라마가 앞다투어 왕을 그리는 이때, 그들과의 차별성에 대해서도 고민했을 법하다. 무엇보다 <광해>를 통해 드러났을 그가 바라는 왕의 상에 대해 묻고 싶었다.
-평소 사극을 좋아했었나. =즐겨본 건 아닌데, 사극이라는 장르에 매력은 느끼고 있었다. 다소 낯선 이야기라도 사극이라서 허용되는 부분이 있으니까. <광해>의 연출을 제안받았을 때 호기심을 가진 이유도 사극이기 때문이었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기존 사극에 등장했던 왕과 비교할 때, 차별성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고민한 차별성이란 어떤 거였나. =기존의 사극에서는 왕이 왕이라는 이미지답지 않게 다소 좁고 작게 다루어졌다고 생각했다. 한 나라의 왕이라면 그가 가진 공간이나 권력의 크기가 상당했을 텐데 말이다. 한국의 건축을 제대로 보여주는 게 차별성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우선 왕의 공간을 우리가 만들 수 있는 한 최대한 넓게 만들려고 했다. 하지만 당시의 크기를 다 담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왕의 캐릭터도 다르게 보여주고자 했을 것이다. =한창 영화를 준비할 때,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가 방영됐다. 나도 그런 왕을 보여주고 싶었다. 일반 사람처럼 화가 나면 욕도 하는 왕이었으면 했다. 실제 광해군에 관련한 역사를 조사해보니 파격적인 부분이 많았다. 그렇다고 해서 광해군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건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왕에게서 보고 싶은 부분을 투영하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 같았다. 하지만 이상적인 군주를 보여주려는 의도는 없었다. 다만 그 시대에는 수직적인 지배를 통해 왕이 군림했겠지만, 이제는 수평적인 상황이 되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이었다. <뿌리 깊은 나무>처럼 최근에 등장한 다른 사극도 마찬가지일 것 같다. 어떻게 보면 만드는 이들의 의도가 아니라, 지금 사람들이 원하는 걸 담아낸 것일 수도 있다. 만약 <광해>가 먼 옛날에 만들어졌다면 하선은 좀더 강인하고 카리스마가 넘치고 영토 확장에 앞장서는 왕이 아니었을까? 그 시대에는 그런 왕을 좋아했을 테니까.
-실제 기록에서 취한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 =많지는 않다. 대동법 시행이나 명나라 파병에 관련한 발언 같은 광해군의 업적은 영화에 담았다. 영화의 첫 부분에 등장하는 ‘닮은 자를 구해서 침소에 두게 하라’는 자막은 허구이지만, ‘숨겨야 할 일을 조보에 남기지 말라’는 내용은 실제 기록에 있는 부분이다. 안개시 같은 상궁은 실록에도 기록된 김개시라는 상궁을 가져온 것이다. 사실 원래 시나리오는 당시의 실명을 그대로 담기도 했었다. 극중 등장하는 어의의 이름을 아예 허준으로 정했으니까. 하지만 사실을 다루는 이야기가 아닌 이상 진짜처럼 보이게 하고 싶지는 않았다. 이야기에 중요한 허균과 광해군을 제외하면 거의 다 허구의 인물들이다.
-극중의 하선은 한 궁녀와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뜻을 발언하기 시작한다. 설득력있는 설정이지만, 하선은 원래 어떤 사람인가라는 점은 끝까지 궁금증으로 남아 있다. =시나리오를 수정하는 단계에서 그의 개인사를 부각하려고 고민한 적이 있었다. 하선이 애기기생과 궁녀의 사연에 감정이입하는 이유를 그가 고향집에 남겨두고 온 여동생에게서 찾자는 의견도 있었다. 서자 출신이면 어떨까, 란 고민도 했다. 하지만 설명으로 설득하는 건 좋은 선택이 아닌 것 같더라. 나는 하선이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불의를 보면 마음이 끓어오르지만 무서워서 피하기도 하는 사람인 거다. 49:51 사이에서 고민한다고 할까? 만약 하선이 10:90이나 20:80의 비중으로 맞서 싸우려 했다면 그는 영웅이다. 하지만 사람은 언제나 갈등하기 때문에 때로는 영웅이 되고 패배자가 되기도 한다. 하선도 크게 다르지 않은 인물이다.
-<광해>의 유머 또한 대부분 근엄한 왕의 이미지를 해체시키는 모습에서 끌어오고 있다. =처음 시나리오를 받고 보니 내가 생각했던 것과 약간 다른 지점에 놓여 있더라. 상당히 진도가 나가 있는 시나리오였는데, 내가 원하는 코미디로 몇몇 부분을 수정했다. 나는 말로 웃기거나, 인물이 상황을 벗어나서 웃기는 걸 잘 찍지 못한다. 인물을 설득시킨 다음, 그 상황 안에서 벌어지는 코미디를 즐기는 편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권력이 역전되는 상황이라고 할까? <마파도>도 형사와 깡패가 할머니들에게 당하면서 비롯되는 코미디다. <그대를 사랑합니다>에서도 관객이 가장 많이 웃은 부분은 꼬장꼬장하기로 소문난 할아버지가 치매 상태인 연약한 할머니에게 당하는 순간이다. <광해>에서도 허균과 광해군의 의도와 다르게 하선의 위치가 역전되는 순간을 고민했다. 그때부터 이들의 계산이 어긋나는 거다. 관객도 그 순간에 쾌감을 느끼는 것 같다.
-하선이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를 비판하는 부분은 관객의 쾌감을 위한 서비스가 아닐까 생각했다. 앞서 등장하는 대동법에 관한 발언은 하선의 감정상 맥락이 있지만, 이 부분에서 하선의 분노는 그런 맥락과도 동떨어져 있다. =그렇게 느꼈다면 앞 부분의 연출이 잘못된 거다. 하선은 왕 역할을 하면서 궁에서 벌어지는 비상식적인 일들에 분노하는데, 그게 쌓이고 쌓여서 명나라 부분에서 터진 것처럼 보였으면 했다. 그런 의도로 보이지 않았다면 잘못 찍은 거다. 사실 편집과정에서 영화의 마지막 사건 뒷부분에 넣어보기도 했었다. 그런데 비상식에 대한 울분이 다른 쪽으로 곡해되어 보이더라. 그래서 원위치시켰던 장면이다.
-비슷한 설정을 가진 <나는 왕이로소이다>가 먼저 개봉했다. 매화틀과 관련한 유머는 <광해>와도 공유되는 부분이다.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부터 비슷한 설정의 영화가 기획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왕을 다루는 이상, 생각할 수 있는 에피소드의 범위가 넓지 않다고 봤다. <데이브>도 봤었는데, 역시 비슷한 부분이 나오더라. 크게 고민하지는 않았다. 새로운 걸 넣으려고 목을 매기보다는 내가 생각한 방식대로 최선을 다해서 찍으려 했다. 너무 똑같다고 하는 부분은 편집에서 드러내고, 더 재밌다고 하면 과감하게 쓰면 될 것 같았다.
-감독이 생각한 왕의 이미지, 그리고 유머에 이병헌이라는 배우의 존재가 미친 영향이 클 것 같았다. =캐스팅 뒤에도 사실 고민이 많았다. 과연 이런 연기도 재밌게 할 수 있을까, 란 걱정이었다. 병헌씨도 초반 5회차 촬영까지는 수위조절을 많이 고민한 것 같더라. 하지만 5회차를 지난 뒤부터는 놀라울 정도로 중심을 잡아냈다. 본인이 아이디어를 많이 내기도 했다. 매화틀 에피소드에서 궁녀가 다가오자 하선이 도망치는 모습은 너무 재밌어서 일부러 컷을 외치지 않았던 장면이다. 병헌씨는 카메라에 부딪힐 때까지 연기했다. 무엇보다 관객이 하선을 진짜 왕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편집하는 동안 어쩌면 관객이 자기도 모르게 하선을 진짜 왕으로 보지 않을까 하는 확신이 있었다.
-대선이 100일도 안 남은 시점에 개봉한다. 영화의 맥락상 보여주고자 했던 왕이 아니라, 감독이 바라는 왕의 상은 어떤 것일까. =나는 실제의 왕이 하선 같을 순 없다고 생각한다. 영화에서 조 내관의 대사 중 편집된 게 있는데, “사람을 사랑하면 임금이 될 수 없다”는 부분이다. 그게 진짜 왕이나 지도자의 모습일 거다. 하지만 거기에서 한 가지를 더 바란다면, 현실은 그렇다고 해도 그 깊이에는 휴머니즘이 있었으면 좋겠다.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진실한 휴머니즘이 있다면 결과치는 다르지 않을까? 나만 가지고 있는 바람은 아닐 거다. 모든 사람들이 바라는 소망일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