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디스토피아로부터
[이송희일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웃어라, 가진 게 없을수록
이송희일(영화감독) 일러스트레이션 이선용(일러스트레이션) 2012-07-23

요즘 독립영화들의 한결같은 개봉 풍경. 트위터를 하지 않던 감독들이 계정을 만들고, 개봉 뒤에 그 계정을 휴업한다.

트위터 초창기에만 해도 상업영화들 역시 신대륙인 양 러시 행렬을 이루었다. 개선나팔을 요란하게 불며 각종 이벤트와 행사도 벌였다. 하지만 곧 SNS가 흥행에 그닥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깨닫자 뒤도 안 돌아다보고 철수했다.

상업영화 마케터들이 철수한 그 공백의 자리를 차지한 건 독립영화들. 어떤 독립영화 감독이 그 느릿한 손으로 트위터 계정을 만들고 안녕, 하고 멘션을 보낸다면 개봉이 임박했다는 뜻이다. 개봉을 앞두고 그제야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감독들이 더러 있다. 그리고 영화가 개봉되면 숱한 홍보글을 모스 부호 타전하듯 남발하다가 영화가 극장에서 내려오는 순간, 슬그머니 자취를 감춘다. 때론 배급사의 집요한 요청에, 때론 이게 마치 이제는 정해진 개봉 일정이나 되는 듯 겸연쩍게 트위터에 로그인했다가 소리 소문 없이 로그아웃하는 것이다.

하면, 트위터가 독립영화 개봉 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까. 이 질문에 적지 않은 이들이 도리질을 친다. 트위터로 아무리 홍보해도 최종 관객 스코어가 1천명이 안되는 독립영화들이 여전히 양산되는 걸 보라. 그 통곡의 벽처럼 견고한 관객의 무관심을 트위터 재잘거림으로 깰 수 있겠냐고 반문한다. 될 영화는 어차피 트위터가 없었어도 흥했다는 것. 꽤 많은 독립영화인들이 그 말을 끝으로 트위터를 그렇게 떠났다.

하지만 이쯤에서 하나 궁금하다. 어이 친구들, 그런데 언제는 독립영화를 공짜로 홍보할 수 있는 곳이 있었어? 천문학적인 마케팅비를 들이는 상업영화와 달리, 가진 거라곤 입과 발과 손밖에 없는 독립영화인들이 언제는 비빌 언덕을 가지고 있었냐는 것이다. 트위터를 순전히 마케팅 공간으로만 인식해서 생긴 패착 아닐까? 어차피 그곳은 글똥 싸고 노는 곳이잖아. 혹시 놀 줄을 몰랐던 건 아닐까?

예를 들어 요즘 독립영화 대세인 <두 개의 문>은 개봉 전부터 트위터 공간을 적극 활용해 배급위원회도 꾸리고, 개봉 전후로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홍보를 지렛대 삼아 그 효과를 톡톡히 길어올리기도 했다. 물론 트위터를 이용해 흥행하자는 건 망상에 가깝다. 독립영화일수록 작품의 내적인 완성도가 결국 최종 심급이다. 그럼에도 독립영화가 공짜로 홍보하며 놀 수 있는 곳이 언제 있었나?

요즘 유행하는 말이 있다. “페이스북은 아는 사람들에게 거짓을 말하는 곳이고, 트위터는 모르는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하는 곳이다.” 이걸 독립영화 버전으로 바꾼다면 이렇게 될 것 같다. “페이스북은 아는 사람들에게 협박하는 곳이고, 트위터는 모르는 사람들에게 협박하는 곳이다.” 협박의 표현을 ‘유혹의 손짓’으로 바꿔도 상관없겠다. 관객 한명에게라도 더 자신의 영화를 보여주고 싶은 욕망만 견실하다면 일희일비의 계단에 주저앉아 인상 찌푸리지 말자고. 가진 거 없을수록 더욱 웃어야 한다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