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홀리다, 홍상수에 홀리다, <북촌방향>에 홀리다

정한석 기자의 <북촌방향>에 대한 주석 또는 ‘북촌몽유록’(北村夢遊錄)

홍상수 감독의 열두 번째 장편영화 <북촌방향>은 참으로 이상하고 흥미로운 영화입니다. 너무 쉽고 재미난 이야기인 것도 같다가 또 심오한 인생 이야기인 것도 같습니다. 주인공이 서울의 북촌에서 길을 잃고 시간도 잃고 맴맴 도는 영화입니다. 영화제 등을 통해서 이미 본 사람들의 반응은 참 다양합니다. 놀랍다, 슬프다, 웃기다, 각지각색입니다. <북촌방향>은 도대체 어떤 영화일까요. 뭐가 그리 재미있는 걸까요. 영화 속으로 들어가 북촌을 마음껏 거닐어봤습니다. 그리고 홍상수 감독을 찾아가 이것저것 물어도 보았습니다. 그것만이 아닙니다. 오랜만에 만나서 더 반가운 배우들, <북촌방향>의 주연배우들인 송선미, 김의성, 김보경도 만났습니다. 자, 이제 북촌으로 가볼까요. 슝슝!!

<북촌방향>의 홍상수와 대구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한 창작자로부터 시작하고 싶다. 의외겠지만 그는 한국영화계의 어느 감독이 아니며 세계영화계의 그 누구도 아니고 동시대에 함께 살고 있으며 국내에서 문학을 하는 한 비범한 창작자다. 에세이스트이자 소설가 김훈이 내게는 홍상수의 대구로 보인다. 이 비교는 이상한 것으로 들리기 쉽다. 김훈도 홍상수도 개별의 인간들에 새겨진 그 구체적 존엄에 관하여 무한 신뢰를 지녔고 둘은 각자의 방식으로 삶의 실체가 심연이라는 진실을 이해하고 있어서 김훈은 “말할 수 없는 건 끝내 말할 수 없다”고 말하고 홍상수는 ‘잘 알지도 못하면서’라고 영화 제목까지 짓지 않았던가. 그들은 삶의 실체에 대해서 똑같이 고개를 숙여 겸손하다. 그런데 둘 사이에는 중요한 대극의 차이가 있는데 그들은 실체에 접근하는 인식의 방식과 과정이 다르다. 내 생각에는 그게 다르면 크게 다른 것이며 정확히 다른 것이다. 예컨대 자리가 주어질 때마다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공언해온 김훈이 어느 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한편의 영화 강연자로 초청받았을 때 그는 저 유명한 <칼의 노래>의 첫 문장에 대한 고뇌, 그러니까 사실에 입각하기 위해 ‘꽃은 피었다’를 ‘꽃이 피었다’로 바꾸어 쓴 그 배경을 다시 밝히며 완강한 사실 위에서 성립한 영화의 양식이 있다면 그건 아마 다큐멘터리일 거라고 말했다. 반면 홍상수는 언젠가 사석에서 단호한 어조로 “나는 완전한 사실로서의 다큐멘터리가 있다고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