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이순신 장군 동상은 1968년 4월27일에 세워졌다. 쿠데타로 집권한 군부 세력은 경제개발계획이 본궤도에 오르자, 각종 문화정책을 거푸집 삼아 ‘근대화된 조국’의 형상을 주조하기 시작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각별한 애정을 쏟았다는 이 동상은 이런 전환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 덕분이었을까? 그 시절,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깨달은 국민이라면 누구나 마음속 한복판에 충무공의 동상 하나쯤은 세워두고 있었다. 임상수 감독의 2005년작 <그때 그사람들>은 한 장면에서 이 동상에 주목한다. 영화 초반부, 카메라는 이순신 동상을 앞에 두고 느리게 옆으로 이동하며 청와대를 향해 날아가는 헬리콥터들을 잡는다. 그런데 이 장면, 뭔가 이상하다.
잠깐, 바로 앞 장면으로 돌아가보자. 헬리콥터 안이다. 대통령 일행이 앉아 있다. 비서실장이 창 너머를 힐끗 내려다본 뒤 먼저 말을 꺼낸다. “혁명 때만 해도 여기 다리 하나 없이 나룻배에, 온통 뻘밭에… 참 감개무량하시겠습니다.” 대통령은 비서실장의 아부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경호실 신 차장에게 사라진 물개 불알의 행방을 묻는다. “그래, 정 총리가 묵었다는 증거는 있고?” “뭐 증거야 없지만 사태는 뻔하니까요. 하여간 그분 대애단하세요.” 옆에서 히죽대던 경호실장이 거든다. “그게 그 인간 인생관 아니겠습니까? 한 세상 잠깐 사는 거, 맘껏 최대한 따먹는 게 장땡이다.” 비서실장도 끼어든다. “여자라면 가리지 않고, 그냥, 에이, 끔찍한 사람.” 대통령은 약간 굳은 표정을 지으며 일본어로 대화를 마무리한다. “배꼽 아래 일은 원래 문제 삼는 게 아니야. 사나이가 시시하게….”
그런데 우리는 앞 장면에서 또 다른 ‘대애단한 분’에 대한 이야기를 이미 들은 바 있다. 어느 중년 여성으로부터 말이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새벽에 언뜻 깨보니 자기 몸을 쓰다듬고 계시더래요. 곱다, 정말 곱다, 이러시면서. 한없이 계속 온몸을. 그러다가 결국 어르신이 쟬 한번 다시 품어주시고…. 그 어른, 참 대애단하세요. 예에, 그 연세에.” 바로 다음 장면에서, 아랫도리 일을 문제 삼지 마라고 일갈하던 그분에 대한 이야기다.
이렇게 두 장면에서 등장인물들은 독특한 목소리의 음색과 발성의 리듬감으로 외설스러운 말들의 몽타주를 만들어낸다. 이순신 장군의 동상이 등장하는 것은 바로 그 다음이다. 두명의 ‘대애단한’ 분들에 대한 뒷담화를 거쳐 당도한 세종로의 경관은 ‘물개 불알’의 강렬한 잔상 앞에서 고개를 숙인 채 뒤틀린다. 세대의 헬리콥터만이 아랑곳하지 않고 유유히 날아갈 뿐이다. 이 경관 속에서 충무공은 투구 앞창의 그림자에 눈을 감춘 채 부동자세로 서 있다. 국난 극복의 영웅이 아니라 권력의 경비병으로, 애처롭고 쓸쓸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