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성동일] 가면 뒤, 인간이 있다
강병진 사진 최성열 2010-11-15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페스티발>에서 성동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시나리오 리딩을 하던 날 그가 감독에게 말했고, 이해영 감독 또한 수긍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그의 말은, 지금까지 관객의 혼을 빼놓았던 무기들을 내려놓겠다는 의미였다. 감칠맛 나는 사투리 연기도, 보는 이를 신명나게 만들던 애드리브도, 표정연기도 없다. <추노>의 천지호나 <도망자 Plan B>의 나까무라 황처럼 무게도 잡지 않는다. 심지어 대사도 거의 없다. 얼굴까지 가면으로 숨겼다. “묘했다. 한번도 가본 적이 없던 나라에 여행을 가거나, 한번도 타보지 않은 배를 타는 기분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편할 수가 없더라. (웃음)”

성동일이 연기한 인물은 철물점을 운영하며 보일러 수리공으로 일하는 기봉이다. 기봉은 동네 한복집 주인인 순심(심혜진)의 사디스트적인 욕망을 분출시키고, 순심을 통해 남몰래 감춰놓은 마조히스트적 근성을 드러낸다. 이때부터 기봉의 테마는 ‘복종’이다. 드디어 충성맹세가 가능한 주인을 만난 100%의 노예.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었던 건 기봉의 모든 행동이 주인의 지시를 따르기 때문이었다. “내가 리드를 할 때 느껴야 하는 책임감없이, 잘만 따라가면 성공하는 거였으니까. 남자 입장에서도 여자의 리드를 따라가는 건 행복한 일 아닌가? (웃음)” 개의 얼굴을 본뜬 마스크를 쓰고, 몸에 달라붙는 SM의상을 입어야 하는 건 “고마운 안전장치”로 여겼다. “거울을 봤는데 일단 부끄럽더라. 하지만 연기를 할 때는 그런 복장이 나에게 ‘예쁜 커튼’이었다. 보는 사람들은 답답할 수 있지만, 나에게는 너무나 아늑했다.” 모든 걸 감추고, 버렸지만 흔히 성동일을 수식할 때 쓰이는 ‘미친 존재감’이란 단어는 오히려 <페스티발> 속의 그에게 가장 부합할 듯 보인다. 묵묵히 자리를 지키던 기봉의 마스크는 후반부에 이르러 보는 이의 마음을 짠하게 만드는 표정으로 거듭난다. <페스티발> 속에 우리가 즐기던 성동일의 얼굴과 목소리는 없다. 하지만, 그 남자는 거기 있었다.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성동일은 딱 한 장면에서 “(감정을 잡을 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평생 자신을 숨기고 살아왔던 기봉의 비애는 잠깐 스쳐가는 눈물연기를 통해 방점을 찍는다. 그에게는 “당위성의 문제”였다. “그런 진실성이 없다면 이전에 풀어놓은 기봉의 감정이 농담이 될 것 같더라.” 돌이켜보면, 성동일이 웃음으로만 버틴 작품은 없었다.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에서 사투리와 슬랩스틱 연기를 보여주던 그는 끝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려는 독립운동가의 결단을 보여줬다. <홍길동의 후예>의 검사 재필은 자신의 믿음을 관철시키고자 선배 검사와 맞섰다. <추노>의 천지호가 자신의 입안에 엽전을 넣고 죽는 장면은 오로지 살아남기를 원했던 남자의 허망한 최후였다. “그게 인생 같다. 하루에도 12번씩 변하는 게 인간이다. 언제나 보는 사람들이 부담스럽지 않는 선에서, 한 신 안에 진지함과 웃음, 눈물을 함께 집어넣으려고 했다. 그 포인트를 잡는 게 내 철칙이자 공식이다.” 성동일은 <도망자 Plan B>의 나까무라 황이 “이제 점점 무서워질 것”이라고 귀띔했다. 그리고 개봉을 앞둔 <아이들>에서는 아예 웃음의 포인트가 배제된 진지한 형사를 연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돈을 벌고 인생을 즐기기 위해 연기를 한다”고 했지만, 관객이 성동일을 통해 즐겨왔고, 앞으로 보고 싶은 것은 그의 사투리 연기가 아닌 삶에 대한 진심일 것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헤어 김영주·메이크업 노미경·스타일리스트 이재령·의상협찬 벨앤누보, 아메리칸 어패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