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또다른 상상력을 보다
김용언 2010-10-22

최종 심의에 오른 나머지 네편은 어떤 이야기?

<Glory Day>

시놉시스 지공, 한규, 용걸, 승범, 상우는 고등학생 시절 가장 친한 친구 사이였지만, 학교를 졸업한 순간부턴 각자의 환경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건달 형을 둔 지공, 부유한 검사 아버지 밑에서 무기력하게 성장한 한규, 재능없는 대학 야구선수 승범,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아르바이트로 힘들게 생활하며 뮤지션의 꿈을 키우는 용걸, 지독한 가난에 시달리다 재수를 포기하고 군입대를 결심한 상우. 상우의 입대 직전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려던 다섯명은 사소한 실수로 유치장에 끌려간다. 유치장에서 보내는 하룻밤, 이들의 관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개인적으로 청춘드라마를 상당히 좋아하는 편이다. 부조리한 사회 안에서 청춘의 시기를 관통하고 있는 젊은이들을 풀어놓으면 재미있겠다고 생각했다. 그동안 청춘드라마가 애써 이야기하지 않았던 지점, 그곳을 조금 다르게 짚어보고 싶었다.”(최정열)

<바비>

시놉시스 미국의 내과의사 스티브는 어린 딸 바비를 데리고 부산에 도착한다. 그는 부산에 사는 소녀 순영을 입양하고자 한다. 술독에 빠진 무능한 아버지와 어린 동생들 순자, 순삼, 대한과 살고 있는 순영은 갑작스런 입양 소식에 충격받는다. 순영의 작은아버지는 입양 브로커 역할을 통해 일확천금을 노리고,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던 순자는 순영 대신 자신이 입양되길 고대하며 심술을 부린다. 언어가 통하지 않지만 순영의 순수한 마음에 매혹된 바비는 급속도로 그녀와 친해지지만, 이 광경을 보는 스티브의 마음은 착잡하다. 사실 그가 순영을 입양하려는 데에는 다른 비밀이 숨겨져 있다.

“끔찍한 살인사건이나 강간사건엔 늘 불행한 어린 시절을 보낸 주인공이 등장한다. 그들의 삶은 그렇게 어려서부터 불행으로 누적되었다가 폭발한 것이다. 난 가족 이야기에 특히 관심이 많다. 행복한 가정에서 즐거운 유년 시절을 보냈던 나는 아이러니하게도 불행한 가족들 이야기에 늘 관심이 간다. 입양과 결합된 음지의 가족 이야기는 내가 맛보진 않았지만 가장 잘 요리할 수 있는 메뉴라고 생각한다.”(이상우)

<보내지 않은 편지>

시놉시스 다큐멘터리 감독 정상훈은 1950년대 활동했던 유학파 여성감독 김예분에 대한 정보를 우연히 접한다. 그 존재조차 몰랐던 여성감독의 충격적 데뷔작 <돌아보지 마라>는 유실되어 소문으로만 떠돌고 있다. 심지어 김예분은 두 번째 작품 <보내지 않은 편지>을 찍던 도중 돌연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자살로 판명되었지만 거기에 뭔가 감춰진 속내가 있었다. 흥미를 느낀 상훈은 김예분의 주변 인물들을 탐색하기 시작하고, 김예분의 죽음 뒤에 실체를 알 수 없는 권력의 외압이 있었음을 알게 된다.

“6년 전 김기영 감독님의 다큐멘터리를 준비했다가 접은 적이 있다. 지난해 즈음 그때 작업물을 다시 돌려보다가 이 내용을 좀 다른 방식으로 다뤄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1950년대에 김기영 감독님 같은 기상천외한 감독이 여성이었다면, 그녀가 상당히 급진적인 사상을 갖고 있고 급진적이고 충격적인 영화를 찍었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궁금해졌다. 형식적으로는 <맨 온 와이어>와 <디스트릭트 나인>을 보면서 미스터리 스릴러와 다큐멘터리 형식이 결합되면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민간 사찰, 인터넷 검열 등의 현재 상황과 맞물리는 측면이 있으니 현재성으로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양정호)

<안녕, 상호씨!>

시놉시스 영화감독 지망생 지혜는 쉽지 않은 데뷔작 준비에 지쳐 자살을 생각한다. 다양한 자살 방법을 놓고 고민하던 중 엄마의 기일을 알리는 아빠의 전화를 받는다. 할 수 없이 고향에 내려간 지혜는 정수기 대리점을 운영하는 아빠 상호의 잔소리에 지겨워하다가, 어느 순간 젊은 시절의 상호와 마주친다. 지혜와 동갑인 젊은 상호는 지혜와 함께 길을 떠나고, 그녀가 느끼는 삶의 불안이 자신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걸 알려준다. 이 뜻하지 않은 여행을 거치며 지혜는 어느 순간 상호가 이성으로 느껴지기까지 한다.

“기본적으로는 아빠와 딸 이야기다. 하지만 부녀관계에 대해서 깊이있게 파고들기보다는, 서로의 삶을 살아가면서 해줄 수 있는 응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아빠가 내게 해줄 수 있는 응원, 내가 아빠에게 해줄 수 있는 응원. 가족 간의 복잡미묘한 관계에 대해 뭔가 해결을 손쉽게 그리는 건 좀 아닌 것 같다. 관계라는 게 더 좋아지거나 다음 순간엔 훨씬 나빠지는 패턴이 반복되는 거니까. 구체적인 해결을 제시하기보다는 서로가 서로를 응원해주는 그런 느낌이 더 소중한 것 같다.”(경지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