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도서
[도서] 타지에서, 그대에게
이다혜 2010-03-11

<경계에서 춤추다> 서경식, 다와다 요코 지음

편지를 쓰고 싶다 지수 ★★★★ 그들의 다른 책도 읽고 싶다 지수 ★★★★

세상 모든 글은 읽는 자를 염두에 두고 씌어진다. 심지어 일기조차 어느 정도는 그렇다. 하지만 편지만큼 적극적으로 독자를 글 한복판으로 끌고 들어가는 글은 없다. 상대가 글을 쓰게 만드는 건 기본이고 다툼, 사랑, 혹은 영원한 결별을 ‘행동’하게 만드는 글이니까. 그런데 서간체 소설이건 서간집이건 재미있는 점은, 그런 문답의 과정이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데 있다. 얼굴을 마주하고 나누는 대화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이나 각자가 처한 상황을 이유로 편지들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묻지 않았던 것에 대한 대답, 질문에 대한 회피, 말하는 것과 말하지 않는 것 사이의 긴장. 이번주 신간 지면에 소개할 책들은 세권 다 편지글이다. 편지쓰는 문화가 사라진 시대에 편지만이 할 수 있는 긴장과 자극을 느끼게 해주는 책들이다.

<경계에서 춤추다>는 도쿄게이자이대학 교수 서경식과 일본 소설가 다와다 요코가 주고받은 편지를 모은 책이다. 재일 조선인 2세로 서울에 살고 있는 서경식(<난민과 국민 사이> <디아스포라 기행>)과 일본인이지만 베를린에 살고 있는 다와다 요코(1993년 <이누무코이리>로 아쿠타가와상 수상)는 집, 이름, 여행, 빛, 목소리, 번역, 순교, 고향, 동물을 소재로 대화를 해나간다. 단순해 보이지만 깊은 생각. 이름이 보통명사와 다른 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의미를 잊어버리게 된다는 사실이다, 설령 의미를 알고 있더라도 쓰면서 의미를 잊게 된다, 그게 좋은 것이다. 여행은 자신을 붙잡아두고 있는 일상으로부터의 일시적인 해방이라고 많은 이들이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끊임없이 이름을 말해야 하고, 신분증명을 요구당하는 행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여행이라는 것 역시, 자신을 재정의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특유의 진지함 때문에 웃게 되는 대목도 있다. 다마(玉)라는 단어를 이야기하면서 진지한 (조심스레 살살 쓸어보아야 새어나오는 웃음을 감지할 수 있는) 말투로 “‘생명이 태어나는 곳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타마’에 해당되는 것은 한국어에서는 아무래도 ‘알’이라는 말쪽인 듯합니다. 이 말 앞에 ‘불’이라는 말을 붙이면 고환을 뜻하게 됩니다. 불과 알이 붙어서 프랑스어처럼 연음되면서 ‘부랄’이라고 발음합니다. 어쩐지 발음까지 그럴듯하지 않습니까?”라니!

다와다 요코는 아쿠타가와상을 받은 적이 있지만 그 작품이 소개된 적은 없다. 이 서간집을 읽으면서 그녀의 표현력에 감탄하다보면(특히 빛에 대한 편지) 그녀의 소설도 곧 한국에서 만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라게 된다. 행운이 한국 독자들에게 따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