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psis 이제 막 출소한 한 남자가 잔인하게 살해당하자, 수사팀은 이 사건이 14년 전 발생한 한 살인사건과 연관되어 있음을 직감하고 당시 담당형사였던 한동수(한석규)를 찾아간다. 그는 당시 피해자의 아들이었던 김요한(고수)이 연루되어 있다고 믿는다. 그 역시 당시 사건을 무리하게 조사하던 중 아들을 잃은 아픈 과거가 있다. 한편, 유미호(손예진)는 한 재벌 총수와 결혼을 꿈꾸고 있는데 그녀에게서 석연치 않은 과거의 흔적이 발견되기 시작하고, 그 배후에 요한이 있음이 드러난다.
<백야행: 하얀 어둠 속을 걷다>(이하 <백야행>)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원작 소설은 물론 일본에서 이미 드라마로도 만들어져 국내 팬에게 익숙한 작품이다. 그러다보니 <백야행>은 먼저 원작과 다른 결말을 도출하기 힘든 만큼 손예진의 캐스팅에 절반 가까운 비중의 승부수를 던진 것 같다. 이야기를 바꿀 수 없다면 그 이야기의 주인공이 누구냐는 원초적인 호기심과 기대 말이다. 가장 우려됐던 부분이 손예진과 고수가 이미 정해진 익숙한 대사를 읊는 장면이었다면, 두 사람은 단독 숏에서도 딱히 오버하지 않고 꽤 흡입력을 발산하고 있다. 고수의 정사장면이 갖는 설득력이 좀 부족하긴 하지만 그들의 연기는 대체적으로 한석규, 차화연의 무게감과 만족스런 조화를 이룬다.
원작이나 일드와 비교해 방대한 분량을 압축한 각색에서도 흠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합격점을 줄 만하다. 유키호의 이름을 유미호로 바꾸고 어린 주인공들이 읽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한국판으로 그대로 등장시킨 게 가벼운 재미 정도라면, 스토커의 존재와 맞물려 유미호의 좀더 표독스러웠던 과거 등을 건너뛴 게 아쉽긴 하지만 한동수 캐릭터와의 비중 분배라는 점에서 제법 영리한 선택을 한 것 같다. 그럼에도 상영시간이 2시간을 넘긴 건 아쉽다. 굳이 등장하지 않아도 됐을 고수의 주변인 캐릭터 임지규는 뜬금없고, 사건 전개의 중요한 연결고리를 쥔 이민정은 마치 인물 사이에서 따로 노는 것처럼 부자연스럽다.
결과적으로 <백야행>은 좀더 폭넓은 관객을 소구하려는 몸부림으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원작이 보여주는, 그러니까 수많은 안티 여성팬이 경기를 일으키는 남성적 무드, 가령 원작 <백야행>의 강간장면이라든가 한없이 초라한 어두움으로 침잠하는 요한이나 동수 캐릭터 등의 사연을 많이 걷어냈다. ‘성인 관람가’이되 결과적으로 원작이나 드라마를 접하기 못한 사람에게 특별한 거부감이나 해석의 난해함 없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가장 애썼다고 할 수 있다. 미호의 깊은 슬픔, 요한과 미호의 멜로, 동수의 트라우마 사이에서 가장 손쉬운 조합을 찾았다고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