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겹다. <정글>을 읽는 동안 치밀어오르는 한 가지는 메스꺼움이다. <정글>의 주인공, 리투아니아 출신의 이민자 유르기스는 행복을 꿈꾸며 미국 땅을 밟았다. 그리고 시카고의 식육공장에서 일을 시작한다. 하루에 버는 돈이래야 고작 1달러75센트. 열악한 조건에도 경쟁이 치열해, 하루라도 결근하면 그 자리는 또 다른 ‘유르기스’에게 빼앗기고 만다. 처음에 그는 아메리칸 드림을 믿었다. 하지만 오래지 않아 그것이 덫이라는 걸 알게 된다. 자본주의가 들이미는 교활한 낯짝은 노동과 가난의 악순환을 구르는 그의 삶을 비참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각종 공장들을 전전하는 동안 유르기스는 누구도 사지 않는 중고품으로 전락한다.
악취를 시각화하는 업튼 싱클레어의 생생한 필치는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다. 하나 모퉁이마다 괴로운 진실이 기다린다. 1906년의 이야기가 현재에도 똑같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드림 아메리카로 우리가 떠날 때, 또 다른 사람들은 드림 코리아에 도착한다. 발에 채이고 욕을 먹는 유르기스처럼 이곳도 그들에게는 정글에 다름 아니다. <정글>은 출간 당시 미국의 식품위생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유명하다. 완역본으로는 한국 독자와 2번째 만나는 이 책이 민주주의의 후퇴와 대규모 실업문제를 겪는 오늘의 이 땅에도 울림이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