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전영객잔
[전영객잔] 비상사태는 시대를 잠식한다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 같은 전쟁영화들은 우리의 일상과 어떻게 교전하는가

<터미네이터>, 그러니까 이제는 1편인 그 영화가 나왔을 때 사라 오코너(린다 해밀턴)의 묵시록으로의 여행에 매혹을 느꼈다. 1984년 미래의 ‘영웅’을 잉태한 그녀는 CG 먹구름이 몰려오는 지평선으로 차를 몰아간다. 물론 영화의 시작도 인상적이다. 조수아 트리가 있는 사막으로 도착하는 미래. 이후 속편이 나오면서 <터미네이터> 시리즈는 새로운 CG를 실험하는 장이 된다. 금속액체 터미네이터가 등장하던 2편 <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의 금속 변형 액체 CG는 광고 영상의 애호물로 자리잡는다. 이 영화가 제시하는 시간여행은 평행우주에 대한 사고에 엔터테인먼트의 당의정을 입힌다. 또한 ‘터미네이터’라는 말은 우리에게도 일상적 통용어가 되어버렸다. 당시 비디오 복제를 막는 코드를 푸는 기계를 주문했더니 이름이 터미네이터였고, 문제 해결사도 터미네이터, 개미 퇴치제도 터미네이터였다. 아, 터미네이터의 세상!

인간과 기계는 무엇이 다르지?

<터미네이터> 4편에 해당하는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은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흥미롭게 생각한다. 그리고 그 차이를 서사와 구경거리의 근간으로 삼는다. 2018년, 지금으로부터 머지않은 미래다. 예의 <터미네이터>의 시퀄이자 프리퀄인 영화에서 우리는 1편, 2편의 T-800 모델 101 터미네이터의 제조 과정을 보게 된다. 약간 덜 만들어져 덜떨어진 아놀드 슈워제네거도 등장한다.

이번 4편에는 다른 영화에서 차용해 기시감을 주는 장면들이 많다. <매트릭스>나 <에일리언>, 심지어 터미네이터 바이크는 애니메이션 <볼트>와 유사하다. 창의성이 다소 떨어지는 4편에서, 방위프로그램으로 고안된 스카이넷은 인간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뒤 남아 있는 인간들을 포획해 감옥에 가두고 생체실험 뒤 기계와의 융합을 시도한다. 이렇게 해서 스카이넷 감옥에 잡혀 들어간 인물이 카일 리스(안톤 옐친)와 몇 백명의 사람들이다. 카일 리스가 누군가? <터미네이터> 1편에 등장했던 미래에서 온 저항군이며, 존 코너의 아버지다. 카일 리스가 스카이넷에 포로로 잡혀 있다는 것을 안 존 코너는 필사적으로 그를 구하려 한다. 그러나 잠수정 본부에서는 사람들을 구하지 말고 스카이넷을 폭파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존 코너는 불복한다. 이때 사령관이 이렇게 말한다. “지금은 전쟁 상황이야.” 전쟁, 예외, 비상 상황이니 사람들의 목숨을 희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존 코너는 바로 이 지점에서 인간이 기계와 다른 점이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뭐, 새로울 건 없지만 맞는 이야기다.

내가 궁금한 것은 이것이다. ‘지금은 전쟁 상황’을 다루는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과 같은 전쟁영화들은 우리의 일상과 어떻게 교전하는가? <터미네이터> 시리즈뿐만 아니라 현재 상영 중인 <스타트렉: 더 비기닝> 등을 포함해서 말이다. 존 코너에게 보내는 사령관의 말을 다시 풀어보자. 전쟁, 예외, 비상 상황. 전쟁영화의 범주와 관행의 차용 등은 다양하지만 전쟁영화는 이러한 비상사태를 자신의 동력과 핵으로 삼는다. 법의 지배, 외부, 치외법권 지대 혹은 내부의 잔여물. 잉여들을 자신의 무기로 삼는다. 즉 예외를 자신의 상례로 삼는 것이 전쟁영화의 논리다.

재앙영화이자 포스트 재앙영화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억압받는 자들의 전통은 우리가 그 속에서 살고 있는 ‘비상사태’(Ausnahmezustand, 예외 상태)가 상례임을 가르쳐준다. 우리는 이에 상응하는 역사의 개념에 도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게 되면 진정한 비상사태를 도래시키는 것이 우리의 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그리고 그로써 파시즘에 대항한 투쟁에서 우리의 입지가 개선될 것이다.”

이러한 비상사태의 상례화를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국가들은 상당히 많다. 우선 미국은 테러리즘의 위협이라는 국제적인 문제와 관계해선 영구적 비상사태를, 거기에다 돼지독감 발생에 따른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1948년, 이집트는 1967년 6월, 전쟁 이후 비상사태를 유지해왔다. 시리아는 1963년부터, 알제리는 1992년부터 비상사태다. 타이, 슬로바키아, 방글라데시, 몽골, 파키스탄, 그리스, 필리핀 등이 과거 비상사태를 선포한 적이 있다. 한국도 1975년 박정희의 긴급조치 9호, 1980년 5월17일 전두환의 계엄령 등의 비상사태 국면이 있었고, 시위 시 군인과 민간인이 매일 대치하는 전·의경 동원 제도를 예로 들어 한국은 여전히 계엄상태라는 의견도 있다. 위의 예들을 얼핏 보아도 근대 국가, 현대 국가 특히 미국과 이스라엘, 이집트, 알제리는 비상, 예외를 상례로 삼아왔다. 물론 대표적인 과거의 예는 12년 동안 비상 체제를 유지한 나치 치하의 독일이다.

나치 시대 정치이론가 칼 슈미트는 계엄을 선포하는 권력이 주권 자체의 성격을 규정한다고 정의했으며, 조르조 아감벤은 비상사태는 시민권을 박탈하여 호모사케르, 벌거벗은 생명을 낳는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비상사태(예외 상황)가 우리 시대의 근본적 정치 구조로 점점 더 전면에 부각되고 결국 스스로 법칙이 되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한다. 나는 이런 근현대의 예외 상황의 상례화와 <터미네이터> 시리즈와 같은 SF 전쟁 영화, 인류와 기계의 최후의 전쟁이라고 명명된 심판의 날 이후 살아남은 인간들과 기계와의 전쟁을 다루는 종말 이후를 상상하는 영화들이 어떻게 서로 얽혀 들어가는지 궁금하다. <터미네이터>와 같은 영화는 일단 심판의 날이라는 최종 종말, 카타스트로피를 상정하고 그 이후를 다룬다는 의미에서 재앙영화이기도 하고 포스트 재앙영화이기도 하다. 시퀄들을 포괄해 하는 말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시간여행을 다루는 영화들은, 텍스트 안에서 시간의 가역적 흐름이나 정지도 다루지만 장르적으로 보면 시퀄 이후 프리퀄을 만들어 장르적 탄생, 근원의 시간을 시리즈 생산 주기에 포함시킨다.

판타지와 카타스트로피의 충돌

지금의 한국사회처럼 일상에서 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비상의 상황을 접하는- 대통령의 서거(근조, 애도합니다) 뒤 북한 핵폭발 실험이 동시 다발적으로 뉴스를 통해 보도되는- 국면에서 예외 상황을 다루는 전쟁영화들을 과연 우리는 어떻게 보는가? 장르영화로서의 전쟁영화는 리얼리스틱한 액션장면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때의 리얼리스틱하다는 것은 일종의 현실증강(augmentation) 효과에 가까운 것으로 최근 캐스린 비글로가 만든 <허트 로커>(Hurt Locker)가 대표적이다. 폭탄 제거, 실패 시 폭탄이 터지면서 만들어지는 대지 흙 위의 진동, 파장의 극 사실 묘사가 그렇다.

SF 전쟁 영화는 현실증강적인 것보다는 판타지와 카타스트로피를 충돌시키는 경우가 많다. <터미네이터> 시리즈로 보자면 터미네이터 모델 T-800이나 다른 진화 모델들이 판타지 구성의 소도구들이며 이런 판타지는 한편으로는 카타스트로피의 미장센으로 기능하고 또 다른 면으로는 카타스트로피의 장면들을 판타스틱한 스펙터클로 끌어올린다. 전쟁도 그냥 전쟁이 아니라 인류 종말 이후 새롭게 시작되는 전쟁, 최종적 종말, 재앙 이후의 비상 상황을 과거와 현재, 미래의 시간성을 넘나들며 다룬다는 의미에서 예외의 예외, 이중적 예외를 다루는 <터미네이터>는 예의 비상체제가 규범이 된 우리의 일상을 그저 상례로 보게 한다. 물론 이런 생각을 꺼내게 할 수는 있는 영화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