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서 관심고조 지수 ★★★★ 저자 신뢰도 지수 ★★★☆
인터넷 서점 알라딘에서 인문서를 구입하느라 서평이나 리스트, 페이퍼를 참고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로쟈라는 닉을 모를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바흐친의 <말의 미학>을 검색하면 로쟈의 마이페이퍼가 총 6편이 뜬다. 그중 내가 바흐친의 책을 사려는 이유에 가장 가까워 보이는 페이퍼 제목 ‘미하일 바흐친, 산문학의 창조’를 클릭하면 <말의 미학>과 더불어 읽을 만한 바흐친의 저서에 대한 뉴스 자료와 로쟈 자신의 간략한 생각을 볼 수 있다. 그 생각의 깊이가 놀라워 이 글 저 글 클릭하고, 그의 페이퍼를 하나 읽을 때마다 보관함에 책 쌓여가는 소리가 들린다. 각종 이벤트니 행사 때문에 온라인 독자 리뷰가 광고 문구처럼 여겨지는 세상에, 꽤나 귀한 서평꾼인 셈이다.
알라딘의 페이퍼에 썼던 글을 손보고 혹은 새로 써 나온 책이 <로쟈의 인문학 서재>다. 인터넷에서 클릭을 반복하며 책으로 책으로 타고 넘어가는 재미는 느낄 수 없지만 종이책으로 묶이면서 좀더 꼼꼼히 읽고 관심분야를 파고들 여지는 커졌다. 읽다 포기했던 인문서의 먼지를 털어 로쟈의 책을 옆에 두고 가지고 있는 책이 인문학의 지형도에 어디 놓이는지 확인하고 다시 한번 읽기를 시도해도 좋겠다. 저자가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특히 그에 관련된 글을 신뢰하게 되는 건 사실이지만, 사실 그의 글을 애독해온 입장에서는 특정 언어나 특정 언어권의 문학에 제한을 두지 않고 신뢰할 만하다. 대학생들, 혹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로쟈의 인문학 서재>는 어떤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제기를 하는 법을 일러주기 때문이다. 그런 점을 생각하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이 책은 “한권으로 끝내는” 어쩌고 하는 인문학 실용서가 아니다. 안 읽은 책을 읽은 척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인문서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는 김훈, 김규항, 고종석의 문체에 대한 ‘문체, 혹은 양파에 대하여’, ‘김기덕의 <사마리아>와 <빈집> 읽기’와 같은 글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