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Fun! Movie > 그 요리
[그 요리] 서양 3대 진미를 한자리에
박찬일 2009-04-15

영화 <바베트의 만찬>(Babette’s Feast, 1987)의 배경은 황량한 북구의 어느 마을. 청교도들이 모여 사는 이곳에 최고의 요리사 출신인 파리 여자 바베트가 온다. 그녀는 프랑스 혁명의 불길을 피해 바다를 건넜다. 그녀는 복권에 당첨된 1만프랑의 거액으로 프랑스로부터 최상급 와인과 요리 재료를 사들인다. 이 마을의 정신적 지주였던 목사의 기념일에 모인 마을 사람들에게 베풀 만찬을 위해서다. 목사의 사망 뒤 서로 반목하고 시기하며 싸늘하게 살아가던 마을 사람들은 바베트의 초청이 달갑지 않다.

“맹세컨대 우리는 음식에 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겠소.” 청교도적인 금욕주의는 입의 호사를 철저히 배격하려 한다. 그 시절의 미덕이기도 했다. 위장이 아니라 혀를 위해서 요리하는 것은 죄악이라고 했으니 말이다. 심지어 마을의 한 여자는 말한다. “혀는 가장 요사스러운 근육이죠”라고. 그런 그들이 먹는 음식은 오직 소금에 전 대구와 맥주 효모로 만든 빵 수프 따위다(사실 요즘은 이런 음식이 오히려 솔 푸드라고 해서 유럽에서 더 각광받는다).

바베트가 차린 만찬장에서 사람들은 잊혀졌던 유대와 애정의 감정을 되찾아간다. 청회색으로 표현됐던 식탁의 분위기는 촛불을 닮은 주황색으로 밝고 따뜻하게 변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지는 건 바베트의 놀라운 요리다. 천생 금욕주의자까지 마음을 돌리게 하는 요리가 줄줄이 나온다. 거북이 수프, 메추라기 요리, 달콤한 디저트까지. 감독은 요리를 고르면서 꽤 대중적인 계산을 하고 있다. 서양 3대 진미라고 하는 캐비아, 푸아그라, 트러플이 고스란히 나오기 때문이다. 이 재료의 값을 아는 나는 화면을 보고 으악 소리를 질러버렸다. 진주알만한 캐비아를 마구 숟가락으로 퍼올리는데, 그 정도 양이면 100만원이 넘는다. 메추라기에 푸아그라와 트러플(송로버섯)을 채워넣는데, 푸아그라는 ‘껌값’이지만 달걀만한 트러플은 적어도 기백만원짜리. 그걸 무처럼 마구 썰어넣는다.

마치 인상파 시기의 정물화처럼 색채감이 살아 있는 부엌 풍경은 인상깊다. 털 뽑힌 메추라기와 소머리, 양파가 놓인 부엌 식탁은 무채색과 붉은색이 뒤섞인 카니발적 광경이다. 무릇 모든 아름다운 존재의 시작은 이런 거다, 라고 감독이 조용히 일러주는 것 같다.

사족: 바베트가 화려하게 요리하는 장면에 쓰이는 구리 냄비와 팬은 방짜 유기처럼 엄청나게 비싼 고급품으로, 나 같은 서양 요리사들이 ‘득템’하고 싶어하는 0순위 아이템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