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 신경숙의 여덟 번째 장편은 칠순 맞은 노모를 잃은 한 가족의 이야기다. 1장은 작가인 큰딸 이야기, 2장은 큰아들 이야기, 아내의 손을 놓고 지하철에 오르고 한 정거장을 지나도록 알아차리지 못했던 남편의 회한은 3장으로 이어진다. 가족은 전단지를 들고 거리로 나선다. 종종 엄마를 목격했다는 증언들이 들려오지만, 실종 당시의 엄마 모습이 아닌 기억 속의 엄마의 환영인 양 진술되어 죽음을 암시한다. 시간이 흐르고 실종이 상실로 받아들여질 즈음 감정은 증폭한다. 어떤 고통은 충격이 지나가고 한발 늦게 찾아오는 것처럼 가족은 잘못한 일만 떠올리며 뒤늦게 가슴을 친다. 그리고 신파로 흐를 법한 이야기는 애끓는 절절함으로 독자의 손을 재촉한다.
4장은 엄마에게도 사랑과 꿈이 있었다고 말한다. 겉도는 남편 대신 마음 붙일 곳을 찾았던 엄마의 비밀은 세상사를 초월한 듯한 독백을 따라 흘러나온다. 무엇보다 엄마도 엄마가 필요했다는 구절은 탄식을 자아낸다. 작가는 2007년부터 <창비>에 연재한 소설을 한권으로 묶으며, 9개월 뒤 이탈리아를 찾은 큰딸의 에필로그를 덧붙였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라의 장미 묵주를 갖고 싶다”던 수수께끼 같은 엄마의 소원은 그렇게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앞에서 완성된다. 세상 모든 이가 가졌을 보편적 종교에 바치는 기도이자 애틋한 사모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