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뜻 보기엔 경성의 풍경사진들을 모아놓은 책 같다. 하지만 <경성, 사진에 박히다>는 역으로 경성시대의 사진문화를 들춰보는 책이다. 물론 사진으로 경성을 보든 그 시대의 사진문화를 엿보든 독자의 감상은 별다를 게 없을지 모른다. 어쨌든 사진은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그 시대의 모습들을 재현하기 때문이다. <경성, 사진에 박히다> 또한 당시의 경성이 사진에 어떻게 활용됐는가를 설명하면서, 시대의 면면들을 소개한다. 당시 사진관들에 엄청난 수익을 안겨준 신분증명사진 붐은 일제가 조선인들을 관리·감독하기 위해 사용한 술책이었다. 조선인 비행사로서는 처음으로 안창남이 경성을 비행하며 찍은 사진들은 당시 조선인들에게 독립의 꿈을 심어주었다.
책은 또한 경성의 사진문화를 통해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욕망이 얼마나 유구한 것인지를 드러낸다. 자신의 사진을 신문사에 보내고 자살을 택한 한 남자의 사연은 버지니아공대 총기 사건을 일으킨 한인 학생을 떠올리게 한다. 안중근의 사진을 품고 숭배했던 당시의 유행은 체 게바라의 사진을 티셔츠에 새겨넣는 지금의 현상을 보는 듯하다. 사진문화의 유입이 일으킨 근대의 풍경을 회고하는 한편, ‘사진’이란 매체의 개념을 인식시키려는 시도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