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사회적 약자의 로드무비 <언더 더 쎄임 문>
오정연 2008-10-15

아이에 대한 감정이입 지수 (의외로) ★★ 미국 불법 이민의 현실에 대한 고발 지수 ★★★★☆ 내러티브의 의외성 ★

머나먼 땅으로 떠나간 가난한 엄마를 찾아나선 아이의 뒷모습은 애달프고 슬프다. 돈을 벌기 위해 아르헨티나로 향했던 엄마를 찾아 마르코가 삼만리 여행길을 떠난 이래 숱한 아이들이 엄마를 만나기 위해 고국을 등졌다. 돈을 위해 신세계로 떠난 엄마와 이를 뒤쫓는 아이의 신산한 여정. 여성과 아이, 사회적 약자의 로드무비는 그렇게 이주(移住)의 역사를 관통한다. <언더 더 쎄임 문>도 마찬가지다.

멕시코에서 LA까지, 무자비한 이민국의 횡포와 각자의 사정을 지닌 동포들의 먹고 먹히는 연쇄관계를 뚫고, 아홉살 소년 까를리토스(아드리안 알론소)는 엄마 로사리오(케이트 델 가스틸로)를 만나야만 한다. 삼만리보다 가까운 물리적 거리를 감안하여, 까를리토스에게는 마르코보다 한결 어려운 임무가 부여된다. 일주일에 한번씩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전화를 걸어오는 엄마가 걱정하기 전에, 피자집과 벽화와 버스 정류장이 함께 보이는 동부 LA의 공중전화박스를 찾아야 하는 것. 미국-멕시코 국경의 까다로운 검문, 매일같이 일감을 찾아 국경을 넘나들어야 하는 멕시코 노동자들의 고단한 하루, 불법 체류자의 신분으로 가족에게 송금할 돈을 벌어야 하는 이민자의 서러움이 소년의 발걸음을 따라 소개된다. 힘겨운 여행길에 동행은 필수. 투박하지만 속 깊은 눈길로 소년과 함께하는 엔리케(유지니오 다베즈)는 얼핏 사회학 보고서처럼 상투적일 수 있었던 영화에 깊이를 더하는 소중한 존재다. 아이는 어른보다,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강하다는 교훈도 빠질 수 없다.

“누구도 이렇게 살고 싶어하지 않아. 각자 이유가 있는 거지.” 엄마를 원망하는 까를리토스를 향해 엔리케가 말한다. 온갖 할리우드영화와 신문기사를 통해 전세계에 알려진 고국의 가장 큰 문제를 또다시 영화에 옮기는 패트리샤 리겐 감독의 고민이 엿보이는 부분. 이 밖에도 고심의 흔적은 영화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시종일관 흘러나오는 멕시코 노래가 일품이다. 불법 이민을 필요로 하는 미국사회, 기회를 찾아 국경을 넘었지만 인간 이하의 대접을 감내해야 하는 이들의 아이러니를 꼬집는 가사는, 21세기 한국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는 뼈있는 풍자다. 소설과 영화 속 아이들은 대개의 경우 엄마를 만난다지만 안심은 금물. 가깝고 먼 현실 속 아이들에게 사회는 이미 따라잡을 수 없는 속도로 나빠지고 있다는 게 진짜 문제다.

tip/ 멕시코의 촉망받는 신예의 영화답게 멕시코 출신 혹은 히스패닉계 유명 배우의 얼굴이 눈에 띈다. 아이들의 밀입국 주선자로 나선 마르타는 <어글리 베티>의 주인공 아메리카 페라라. 엔리케 역의 유지니오 다베즈는 멕시코의 유명 코미디언으로 이 영화를 통해 정극 연기에 도전했다고.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