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와 롯데시네마가 합작법인 디시네마 코리아를 통해 전국 극장에 디지털 영사시스템을 보급하겠다는 내용의 사업안을 내놓자 영화계가 “대형 멀티플렉스 체인들의 시장 독과점 상황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CGV쪽은 11월8일 보도자료를 내, 디지털시네마 영사시스템을 내년 초부터 설치할 예정이며, 이를 적극 활용하면 “연간 24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영사기를 장비 가격의 1/3 수준”에 영화관에 공급해 “현재 전체 극장의 5%에 불과한 디지털 영사기 보급률”을 대폭 끌어올린다는 게 이들 극장의 계획이다. 모자라는 설비 투자액은 “기존 필름 프린트 제작비에 상응하는 이른바 ‘가상 프린트 비용’을 개봉시 배급사에 요구”해 채우겠다고 CGV 관계자는 밝혔다. 이들은 디지털 유통 및 상영이 보편화되면 1벌 제작시 250만원에 달하는 프린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1주일 이상 걸리는” 필름 배급기간도 ‘1일’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극장 외에 제작사, 배급사에도 이익을 안겨다줄 것이라는 전망도 곁들였다.
하지만 시장 1, 2위를 다투는 주도적인 업체들이 손잡고 디지털 시네마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나선 데 대해서는 거부감이 만만찮다. 한 중소배급사 관계는 “두 업체가 시장점유율의 40%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그들의 설비투자 비용을 분담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한편,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이준동 부회장은 “디지털 시네마는 전세계적인 추세이고 또 환경이 갖춰지면 비용 절감 효과라는 순기능이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일부 기업들이 주도하는 모양새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디지털 영사기 보급이 단지 ‘상용설비 교체’가 아니라 일방적인 가격정책이나 극장 프로그래밍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 부회장은 “디지털 시네마 사업은 한국 영화산업 전체 인프라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바라봐야” 하며, 따라서 “공공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영화진흥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형태의 컨소시엄을 먼저 구성”한 뒤 “비용 분담 등에 대해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