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어느 날>이라니, 사뭇 목가적인 제목이다. 문제의 9월이, 2001년 9월이라는 사실을 알고 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뉴욕 무역센터가 테러로 무너지기 엿새 전 프랑스. 전직 첩보원 이렌느(줄리엣 비노쉬)는 시골에서 거위를 치는 소녀 올란도를 방문한다. 올란도는 10년 전 이렌느의 동료 엘리엇(닉 놀테)이 미국으로 소환될 때 방치한 딸. 미국에서 재혼해 의붓아들 데이빗도 얻은 엘리엇은, 뭔가에 쫓기는 투로, 아들과 딸을 은밀히 만나게 해달라고 이렌느에게 부탁했다. 그러나 상봉 장소는 예상보다 붐빈다. 잔인하고 정서 불안한 CIA 요원 파운드(존 터투로)가 들이닥치고 엘리엇이 지닌 ‘정보’에 목을 맨 국제적 투자사도 그를 찾느라 혈안이다. 급기야 재회 장소는 베니스로 바뀌고 여행길의 올란도와 데이빗은 남매 이상으로 친밀해진다.
각본가 출신 신인감독 산티아고 아미고레나는 “9·11을 예견하고 그 정보로 이윤을 취한 사람들이 있다”는 가설을 수용해 특이한 스릴러를 썼다. 이야기의 구심점은 해체하고 인물의 성격, 긴장 속의 찰나적 평화를 묘사하는 데에 공들였다. 올란도는 “미국인들은 공룡과 자신을 동일시하기 때문에 계속 공룡영화를 만든다”고 비웃는데, <9월의 어느 날>의 제국주의 비판 수위도 딱 그 정도다. 엘리엇과 파운드. 시인의 이름을 딴 두 인물이 영화 속에서 가장 죄 많고 불행하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다가올 미래를 알지 못해서 행복한 두 젊은이와 모든 일을 겪었기에 현재를 즐길 수 있는 이렌느의 모습은 의미심장하게 대비된다. 영화의 시작과 끝은 안경을 벗은 근시 이렌느의 시점 숏. 색채와 윤곽이 뭉그러진 파리와 베니스의 풍경이 명료한 시야보다 아름답게 그려졌다. 감독은 모호함의 미학을 예찬하고 있는 걸까? 김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