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은폐된 흔들리는 진심 <킹스 앤 퀸>

레다와 백조를 오가며 주위를 서서히 전염시키는 ‘왕비’, 그녀가 잣는 관계들

<킹스 앤 퀸>이라는 제목만 본다면, 이 영화는 중세를 배경으로 하는 궁정의 치정극일 것만 같다. 게다가 ‘왕과 왕비들’이 아니라 ‘왕들과 왕비’라는 제목은 일처다부제를 연상시키며 어쩐지 신선한 이야기를 기대하게 만든다. 자연히 고혹적인 왕비와 그녀를 둘러싼 왕들의 인정투쟁, 치명적인 사랑과 파멸의 이야기를 상상하게 된다. <킹스 앤 퀸>은 그러한 기대를 반은 채워주고 반은 빗나간다. 이 영화에는 왕과 왕비가 등장하지 않고 시대적 배경 또한 당대 프랑스지만, 위의 기본 구도를 세련되게 변주하고 확장시킨 듯한 인상을 준다. 여왕벌 같은 여주인공 노라(에마뉘엘 다보스)와 그녀의 수컷 벌들이 맺는 관계는 과잉된 감정, 자극적인 이미지로 형상화되지 않는다. <킹스 앤 퀸>은 표면보다는 이면에, 등장인물의 꼿꼿한 언어보다는 그 뒤에 은폐된 흔들리는 진심을 담아내는 데 강한 영화다. 그래서 실은 현대의 팜므파탈이라고 할 만한 노라의 캐릭터도 관능적이고 자극적인 독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녀는 목소리의 변화 하나없이 가면을 쓰고 벗으며 침착한 독으로 승부하는 ‘왕비’의 형상이다.

영화 속에서 노라와 관계를 맺는 남자들은 모두 다섯명이다. 두명의 전남편들과 앞으로 남편이 될 남자, 아버지, 그리고 첫 번째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아마도 이 영화의 왕들일 것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세 번째 남편을 제외한다면, 이 영화는 노라가 바라보는 네명의 남자들 혹은 노라의 삶에 과거, 현재, 미래로 개입하는 네 가지 삶의 순간들을 축으로 삼는다. 영화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노라가 병에 걸린 아버지를 방문하는 ‘노라’, 그녀의 숨겨진 과거가 드러나고 두 번째 남편, 이스마엘(매티유 아멜릭)의 에피소드가 포함된 ‘무정한(잔인한) 해방’, 마지막으로 노라의 아들과 이스마엘의 대화로 채워지는 ‘에필로그’가 그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극적인 부분은 노라뿐만 아니라 인물들의 이면이 드러나는 두 번째 이야기다. 이 부분은 마치 나머지 두개의 에피소드와 단절된 느낌을 줄 정도로 그 자체로 복합적인 형식과 다채로운 인물들의 캐릭터를 안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열쇠가 되는 것은 첫 번째 이야기가 시작되면서 등장한 제우스와 레다의 신화다. 영화는 제우스가 레다와 동침하기 위해 백조로 변신한 신화를 들려주고, 곧이어 레다와 백조의 신화에 대한 그림을 보여준 바 있다. 노라는 그 그림을 아버지에게 줄 선물로 챙긴다. 일면 난데없어 보이는 이 신화는 무수한 곁가지로 뻗어나가는 영화 속 이야기들에 해석의 틀을 제공해준다.

이를테면, 우리는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물을 수 있다. <킹스 앤 퀸>에서 순진한 레다를 유혹한 백조는 누구일가? 첫 번째 이야기에서 노라가 자신의 과거를 간명하게 들려줄 때, 그녀는 상처 입은 레다처럼 그려진다. 그러나 두 번째 파트에서 그녀의 과거가 현재에 삽입될 때, 그녀는 주위의 남자들을 교환하며 끊임없이 변신하는 가면 쓴 백조처럼 보인다. 더욱이 영화 후반부에, “네명의 남자들을 사랑했다. 그중에서 내가 두명을 죽였다”는 노라의 고백은(설령 그녀가 그 죽음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킹스 앤 퀸>에서 누가 레다이고 누가 백조인지를 따지는 것은 그다지 의미있는 접근법이 아니다. 왜냐하면 감독 데스플레생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노라가, 나아가 영화 속 인물들 모두가 레다와 백조를 ‘오가는’ 순간들이기 때문이다. 그 순간들은 이들이 삶의 진실을 대면하고 내면화하는 방식과 관련된다.

누벨바그 이래 프랑스 영화계에서 <카이에 뒤 시네마>의 확고한 지지를 받고 있는 데스플레생은 주로 개인적인 주제를 문학적으로 표현해내는 작가로 평가받아왔다. 그는 자신의 영화가 대부분 ‘고백’이라는 화두를 중심에 둔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그는 여러 인물들의 시선을 교차시키고 그 시선의 충돌과 공존을 통해 영화를 진행하는 데 능하다. 이 영화에서도 인물들은 모두 나름의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고 그것이 각각의 고백이 되어 실타래처럼 얽혀가며 관계가 형성된다. 순수와 위선, 삶과 죽음, 현재와 과거, 현실과 환상은 교차되고 공간적 배경 또한 집과 정신병원을 오간다. 가장 극단적인 두 지점은 사실 자신 안에 그 반대의 지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데스플레생은 여기에 힙합과 클래식을 아우르는 다양한 장르의 배경음악을 깔고 다큐멘터리에서 판타지에 이르는 틀을 톱니바퀴처럼 맞물리게 한다. 한마디로 그의 영화는 혼종적이다. 그렇다고 해서 데스플레생이 이처럼 복합적인 내용과 형식의 정확한 교차나 꽉 짜인 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그는 교차의 틈에서 인물들의 결핍을 보고 있다. 그 지점에서 인물들의 이성적 판단 이면에 존재하는 죄의식과 도덕적 자괴감, 사랑으로 은폐된 증오와 광기를 발견한다. 그가 보는 것은 진정한 고백의 윤리가 아니라, 고백이라는 가면이 숨기고 있는 다른 무엇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두 남자의 죽음을 거쳐 마침내 평온을 찾은 ‘왕비’의 성장기이자 ‘백조’의 가면을 쓴 인간들의 이중적인 언어, 내면, 행위의 분열을 응시하는 냉정한 관찰기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