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편집장이독자에게
[편집장이 독자에게] 대박 아니면 쪽박

최근 CJ CGV가 발표한 5월 통계에 따르면 한국영화 점유율이 33.9%라고 한다. 올해 1월 77.6%까지 치솟았던 수치가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1월엔 <왕의 남자>가 관객몰이를 했고 5월엔 <미션 임파서블3>과 <다빈치 코드>가 휩쓸었으니 이런 점유율이 나오는 게 당연할 것이다. 그래도 극장업계엔 희소식인 것이 할리우드영화 두편 덕에 올해 5월 관객 수가 여름 성수기인 지난해 7월의 관객 수보다 많다는 점이다. 여름 성수기가 일찍 시작된 탓이지만 이런 추세가 6, 7월로 넘어간다고 꺾일 것 같진 않다. <포세이돈>이 개봉일 관객동원 신기록을 세웠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걸 보면 올 여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위력은 굉장하다는 느낌이 든다.

<괴물>

연이어 개봉하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극장가를 잠식하는 가운데 7월1일부터 스크린쿼터도 축소된다. 일부에선 당장의 한국영화 점유율을 들어 쿼터 축소의 결과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지금 상황이 쿼터 축소의 결과로 논의되기엔 이른 것으로 보인다. 쿼터 축소 논의가 나오기 전에도 여름 극장가에 이런 일은 비일비재했으니 말이다. 미국영화 대 한국영화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서 바라보자면 문제는 대형 흥행작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한국영화 점유율이 떨어지는 것에 대해 당장 떠올릴 대책도 7월에 <한반도>와 <괴물>이라는 거대 예산 영화 두편이 개봉한다는 것 정도다. 큰 영화 몇편이 시장을 장악하다보니 중간급 영화(대박에 해당하는 흥행은 아니지만 손해를 보지도 않는 영화)가 눈에 띄지 않는 현상이 벌어진다. 최근 직배사 관계자 몇명을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쿼터가 축소되면 직배영화 편수를 늘릴 것이라는 일반의 예상과 달리 그들은 편수를 늘리는 것에 관심이 없었다. 1년에 적으면 8편, 많으면 12편 정도로, 편수를 줄이면 줄였지 늘릴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아무리 할리우드영화라도 한국시장에선 흥행작과 비흥행작의 관객 차이가 너무 확연히 갈리기 때문이다. 직배사는 영화수입에 별도 비용을 지출하지 않기 때문에 중간급 영화가 꽤 나오는 편인데도 말이다.

영화계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한국영화 제작편수는 90년대 이후 최고로 많을 것이라고 한다. <한반도>나 <괴물>처럼 제작비가 많이 들어간 영화는 손익분기점 자체가 굉장히 높지만 대부분은 중간급 흥행이면 그럭저럭 만족할 영화들이다. 그러나 이 중간급 흥행이라는 게 참으로 애매하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잠잠한 가을이 되면 상황이 좀 나아지겠지만 요즘 흥행추세를 보면 대박이거나 쪽박이거나 둘 중 하나밖에 없어 보인다. 확률적으로 보면 1∼2편이 굉장한 성공을 거두는 동안 8∼9편이 본전을 못 건진다. 건강한 산업이라면 대박 1∼2편, 중간급 흥행작 3∼4편, 약간 손해를 보는 영화 3∼4편, 쪽박 2∼3편 정도로 전체 평균을 냈을 때 일정한 수익이 나와야 할 것이다. 현재 영화산업의 위험성은 중간급 영화가 너무 적다는 점에 있다. 중간급 영화가 줄어들수록 산업의 토대는 허약해지고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심화된다. 여기에 쿼터까지 줄어 보호장벽마저 사라질 참이니 양극화는 더 빨리 진행될 것이다. 아마 이런 경향은 극장이 개봉 첫주에 관객이 몰리는 영화에 무제한적으로 관을 내주는 한 계속될 것이다. 적절한 제어책을 찾지 않으면 공멸한다는 위기감이 확산돼야 할 시점이다.

P.S.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필진으로 남재일, 강미노 두분이 합류했다. 남재일씨는 <씨네21> 아가씨 vs 건달 코너로 낯익은 이름일 테고 강미노씨는 한네스 B. 모슬러라는 이름을 가진 독일인으로 국내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있다. 두분의 활약을 기대하시길.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