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서울독립영화제 2005 [4] - 김경묵 감독
문석 사진 서지형(스틸기사) 2005-12-08

<얼굴 없는 것들>의 김경묵 감독

단 세 컷으로 이뤄진 충격의 영화

처음 본다면 누구라도 그럴 것이다. 충격을 받거나 구토를 하거나 화를 내거나 눈을 감거나. 김경묵 감독의 두 번째 영화 <얼굴 없는 것들>이 만들어내는 쇼크효과는 작은 편이 아니다. <얼굴 없는 것들>은 서울독립영화제 2005에서 가장 뜨거운 논란을 몰고 올 영화임이 틀림없다.

64분30초짜리 <얼굴 없는 것들>은 단 세컷으로 이뤄져 있다. 40분이 넘는 첫컷은 여관방 안을 무대로 한다. 카메라가 ‘몰카’ 앵글로 한구석에 처박혀 방 내부를 비추는 가운데, 우리는 누군가를 기다리는 30대 남성을 보게 된다. 이윽고 교복을 입은 남자 고등학생 민수가 들어오고, 두 사람은 애정행위를 벌이기 시작한다. 30대 남자는 민수를 섹스 파트너 정도로 생각하는 듯 보이지만, 민수에게 아저씨는 사랑의 대상인 것 같다. 더 센 자극을 위해 검은 마스크를 쓴 채 민수의 항문을 탐하는 아저씨는 중학생 아들만큼은 “정상적인 남자”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이다. 아저씨가 황급히 여관을 떠나고 나면 민수는 캠코더를 들고 창밖을 바라본다. 이어지는 두 번째 컷으로 바뀌면 얼굴에 두건을 뒤집어쓴 남자와 모자를 눌러쓴 남자가 어떤 행위를 벌이려 한다. 쇼크효과는 두 번째 컷에서 극대화된다. 두 사람의 행위는 일반적인 섹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살로, 소돔의 120일>의 장면들을 떠올린다면 연상이 가능할, 아니 그보다 더한 행위를 통해 두건 쓴 남자는 성적 만족을 얻는다. 그리고 컷이 바뀌면 화면은 앞서의 여관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캠코더를 들고 카메라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남자는 민수가 아니라, 두 번째 컷에서 두건 쓴 남자의 입 위에 항문을 들이댔던 남자다. 그리고 이어지는 엔딩 크레딧에서 그 남자가 이 영화를 만든 김경묵 감독임을 알게 된다.

지난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첫선을 보인 <나와 인형놀이>를 통해 게이로 커밍아웃했던 김경묵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서 무슨 얘기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첫 번째 컷은 인터넷에서 우연히 발견한 동영상과 내 경험을 결합해서 만들었는데, 그 동영상을 보면서 시선이 매우 폭력적이라고 느꼈다.” 그에 따르면 그 동영상의 시선은 대상을 철저하게 타자화해 쾌락 또는 스펙터클로 즐기는 것이며, 보는 이와의 관계성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다. 그는 이 시선을 폭로하기 위해 몰카의 앵글을 그대로 빌려왔다. 그렇다면 쇼킹하기 짝이 없는 두 번째 컷은 무엇이란 말인가. “그 컷은 영화와 무관하게 내가 예전에 찍어둔 것이다. 여기에 붙인 이유는 나 자신이 그 두건 쓴 사람을 타자로 봤기 때문이다. 나는 그 사람의 행위를 해석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었지만, 그렇게 했다. 이것을 붙여넣은 것은 그에 대한 반성일 수 있다.” 결국, <얼굴 없는 것들>은 전쟁을 게임처럼 감상하고, 타인의 프라이버시를 유희로 바라보는, 그래서 그들이 얼굴을 가릴 수밖에 없도록 하는 이 시대의 폭력적인 시선에 대한 비판이자 감독 자신의 반성에 관한 영화인 셈이다.

<얼굴없는 것들>

김경묵 감독이 이같은 주제에 천착한 이유는 필시 그 자신이 사회로부터 ‘얼굴 없는 것’으로서의 삶 또는 타자화된 삶을 강요받아왔기 때문일 것이다. <나와 인형놀이>에서 드러나듯, 부산이 고향인 그는 어린 날 부모님이 사주신 레고보다는 동생의 마론인형에 매혹되면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깨닫기 시작했다. 고등학교를 1학년 때 그만둔 건 “다닐 만한 데가 아니라서”라는 별개의 이유 때문이지만, 한국에서 청소년이 게이임을 자각하면서 살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으리라. 학교를 그만둔 뒤 “시간이 많아진” 그는 시네마테크 부산 등을 찾으며 “그렉 아라키, 데릭 저먼, 페드로 알모도바르, 차이밍량, 구스 반 산트, 아핏차퐁 위라세타쿤” 같은 감독들과 사랑에 빠지게 됐다. 그가 이들 감독을 좋아한 것은 이들이 게이라서가 아니라, 이들의 영화가 정체성에 대한 그의 고민에 답을 줬기 때문이다. 영화감독의 꿈을 갖고 서울로 올라온 그는 여러 기관의 강좌를 통해 영화실무를 익혔다. ‘겸’이라는 이름으로 <한겨레21>의 청소년 기획위원을 하며 칼럼 등을 썼던 일 또한 영화를 통해 세상에 대해 과감한 발언을 하는 데 도움을 줬을 것이다.

그런데 그는 왜 자신을 노골적으로 영화 안에 드러내는 것일까. “결국 내 얘기였으니까. 하지만 <얼굴 없는 것들>은 <나와 인형놀이>와 달리 사적 고백이 아니다. 점점 영화 속의 ‘나’도 줄어들게 될 것이다.” 차기작으로 여성들의 야오이 문화를 다룰 예정인 김경묵 감독은 “<얼굴 없는 것들>은 성 정체성에 관한 것도, 변태적인 성행위에 대한 것도 아니다. 소재에만 너무 매달리지 말고 큰 맥락으로 읽어줬으면 한다”고 관객에게 각별한 당부를 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장소협찬 신촌 Lui 모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