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스텝 25시
현장과 영화관을 왕복하는 기차, 배급 김길남
사진 이혜정이영진 2000-02-22

서른이 넘은 나이지만 1등 기관사의 꿈을 보듬고 있는 사람. 그의 종착역은 관객이 모여 있는 상영관이다. 극장 라인을 잡는 것부터 비디오 및 공중파, 유선방송 판권까지 포함하는 배급의 역할을 김길남(33)씨는 “소프트웨어를 시장에 공급해서 수익을 발생시키고 이를 다시 제작에 재투자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배급은 영화제작 현장과 영화관을 부단히 왕복하는 기차인 셈. <박하사탕>으로 새해 첫 기적을 울린 김길남씨는 “흥행의 성패를 배급력만으로 이야기하거나 배급력을 라인업과 극장수 확보만으로 설명해선 부족하다”고 미리 못박는다.

배급에도 컨셉과 전략이 엄연히 있다. 제4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였던 <박하사탕>이 좋은 예. 주위에선 영화제 열기가 식기 전에 곧바로 극장 개봉을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그가 염두에 두고 있던 것은 단관 개봉. <박하사탕>은 “판을 크게 벌이는 것보다 판이 최대한 데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할 영화”라 판단했다. “극장이야 작품이 좋으면 따라붙는 것이고 키는 관객이 쥐고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늘어나는 마케팅 비용을 앞에 놓고 단관 개봉만을 고집할 수도 없었다. 하는 수 없이 개봉 2주 전 전략을 바꿔 부랴부랴 7개관을 잡았다. 홍보에 신경을 쏟았는데도 첫주 성적은 썩 좋지 않았다. 좌석 점유율은 떨어지고 극장들은 슬슬 달아나기 시작했다. 속상했지만 극장을 붙잡는다고 해결될 상황이 아니었다. 정리를 하던 중, 사그라지던 분위기가 반전됐다. 몇 안 되는 극장으로 관객이 몰리기 시작한 것. 점유율이 80%에 육박하자 떨어져나갔던 극장들이 다시 붙기 시작했고 14개관으로 늘어났다. “<박하사탕>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이 아니었으면 견디기 힘들었을 것이다. 좋은 배급은 극장 수 많이 잡는 데 아니라, 작품마다 갖고 있는 고유 색깔에 따라 적절히 맞춰가는 배급이다.”

지금이야 세분화됐지만 1년에 외화 14편씩 마케팅, 홍보, 배급까지 도맡던 신도필름 시절 개인적인 짬이라곤 전혀 없었다. 한국영화 제작에 대한 ‘갈증’이 일자 그는 익영영화사 제작담당으로 자리를 옮겨서 현장 진행과 회계를 맡아 충무로 분위기를 익혔다. 96년부터 대기업이 영화에 진출하기 시작했을 때 그의 자리는 새한 디지털미디어 영화사업부. 충무로에 비해 순발력은 떨어지지만 투명하고 합리적인 자금운용이나 대기업의 조직 시스템을 배울 수 있었다. IMF로 대기업들이 영화사업으로부터 손을 빼면서 다시 충무로로 돌아왔다. 기획과장, 극장 프로그래머, 배급 실무까지 그의 이름 뒤에 붙는 꼬리표의 수만큼이나 책임이 무겁지만 다양한 경험을 해봤다는 게 자신감을 잃지 않게끔 해주는 버팀목이다. “좋은 영화는 살아남고 노력은 보람으로 남는다는 진실을 증명하고 싶다”

관련인물